대우·GS·포스코건설, 해외사업 손실위험 상존
입력 2017.02.20 10:31|수정 2017.02.20 12:59
    한기평 “추가손실 등 면밀한 검토”
    • 국내 건설사들이 2016년 잠정실적을 내놓고 있다. 다수의 건설사들의 영업수익성이 개선되며 연초 금융업계의 전망치와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몇몇 대형 건설사들의 경우 해외사업의 손실위험은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평가는 ‘주요 건설업체의 잠정실적 분석 및 향후 모니터링 요인’이라는 스페셜 코멘트를 통해 2016년 잠정실적이 공시된 현대건설,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현대산업개발, GS건설, 대우건설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그 중 대우건설, GS건설, 포스코건설이 해외사업에 대한 리스크가 여전히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대우건설(A-↓)은 지난해 3분기까지 비교적 견조한 실적을 유지한 것으로 발표했지만 4분기에 해외사업에서 대규모 원가조정이 발생, 연간 별도기준 5030억원의 영업손실과 1조440억원의 세전순손실을 기록했다. 사우디 자잔(Jazan) 정유시설, 이라크 알포(Al Faw), 알제리 RDPP 등 해외사업에서 공기지연, 설계변경 등에 따른 프로젝트 원가율 상승 및 잠재손실 선반영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기평은 이번 손실처리 과정에서 상당수준의 공사손실충당금을 계상하고, 클레임 제기로 인한 예상 수익은 반영하지 않는 등 보수적인 회계처리가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주요 손실 프로젝트의 진행율이 50% 내외에 그치고 있어 추가원가 발생가능성이 여전히 잔존해 있고, 그 외의 해외프로젝트의 경우에도 사업진행 과정에서 추가 손실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GS건설(A/부정적)은 주택경기 호조로 건축부문의 수익성이 개선됐지만, 원가율이 100%를 웃도는 사업장의 기성 진행 및 추가적인 원가율 조정이 발목을 잡았다. 2016년 연결기준 매출액 대비 EBIT(이자비용, 법인세 차감전 이익)은 1.3%를 기록, 한기평이 제시한 하향변동요인인 2.0%를 밑돌고 있다.

      해외사업 관련 손실 폭이 감소하고는 있다. 하지만 여전히 해외사업 상당수의 공기가 지연되며 원가부담이 가중되고 있고, 과중한 미청구공사 규모가 지속되고 있는 점은 향후 수익성 개선에 부담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 포스코건설(A+/부정적)은 해외부문의 손실폭 확대 및 희망퇴직 실시에 따른 판관비 증가로 2016년 연결기준 6178억원의 영업적자와 787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파악된다. 한기평은 "하향변동요인으로 제시한 연결기준 매출액 대비 EBIT 2.0%와 금융비용 대비 EBIT 4.0배를 크게 밑돌고 있다"고 분석했다.

      브라질 CSP 제철소 사업은 현재 가동 중이지만 준공지연에 대한 발주처와의 협상이 지연되면서 최종 준공승인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2016년 12월말 연결기준 4095억원의 미수채권이 잔존하고 있는 가운데 준공지연에 따른 지체상금 부담 가능성도 있다. 준공단계에 임박했지만 지속적인 영업손실이 발생하고 있어 최종 준공시점까지 추가손실 발생 여부 및 관련 채권의 회수실적을 지켜봐야 한다는 게 한기평의 설명이다.

      주요 손실발생 현장인 사우디 아람코 황이송설비, 아부다비 담수 프로젝트의 공정률이 평균 60%대에 머무르고 있는 점도 잠재적 부담요소다.

      그밖에 대림산업(A+/안정적)은 공사가 완료된 쿠웨이트 알 아흐마디 정유공장 지역내 가스공장(LPG Train No.4) 프로젝트처럼 돌발적인 원가 증가 사유가 발생할 가능성이 지목받았다. 대림산업은 이 프로젝트에서 발주처로부터 통보받은 지체상금(Liquidated Damage) 482억원을 반영하고 북평화력발전 프로젝트 등의 원가율이 상승하면서 지난해 4분기 실적이 다소 저하됐다.

      한기평은 “대형 건설사들이 과거 상당수준의 손실이 반영됐음에도 추가적인 대규모 손실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공기지연, 예상치 못한 추가원가 부담 등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해외사업과 관련한 손실위험이 여전히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해 프로젝트별 진행률, 원가율 추이, 미청구공사 규모 등 해외사업 전반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추가 손실 발생 가능성, 수익성 개선 가능성 등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