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재 겹친 두산重, 대형 M&A로 돌파구 마련?…금융권 "빚부터 갚아야"
입력 2018.12.04 12:03|수정 2018.12.10 09:57
    장비솔루션업체 '에토스에너지'(Ethosenergy) 인수 검토
    실사단 20여명 파견…4000억원대 이상 거래
    연말 인사·조직개편 앞두고 추진中
    脫원전 수익성 악화에 7000억원대 DICC 소송까지
    시장에선 "지금 대규모 M&A 가능할까?"
    • 두산중공업이 대규모 기업 인수·합병(M&A)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탈(脫)원자력발전 정책에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수익원을 찾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다만 시장에서는 경영·재무 리스크가 여전히 남아있는 가운데 수천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M&A가 재무부담을 가중시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두산중공업은 현재 영국 애버딘(Aberdeen)지역에 본사가 있는 에너지 장비ㆍ솔루션업체인 에토스에너지(Ethosenergy)인수를 검토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20여명의 인력을 현지에 파견해 실사까지 진행했다. 거래 규모는 매입대상에 따라 작게는 3000~4000억원 수준 혹은 그 이상으로 거론된다.

      거래성사여부는 미지수다. 다만 투자시기와 재무부담을 놓고 업계에서는 우려부터 나오고 있다.

      다른 투자업계 관계자는 "회사와 그룹의 중대한 사안인 만큼 이번 거래 결과에 따라 조직개편 및 인사의 방향성도 나올 것으로 알고있다"며 "조직개편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거래에 대한 결정이 연결될 수 있다"라고 했다.

    • 발전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두산중공업은 정부가 탈원전 기조를 발표한 이후 수익성에 타격을 입었다. 현재까지는 기존 수주를 기반으로 수익을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지만, 올해부터 수주물량이 급격히 줄기 시작하면서 돌파구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두산중공업은 신한울 3·4호기의 원자로 설비와 터빈 발전기 등을 공급할 계획이었으나 정부는 건설 중단 방침을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현재 비용 절감을 위해 일부 직원을 계열사로 전출하고 유급휴직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회사는 올해 보유 중이던 두산밥캣 지분 10%를 매각했고, 두산엔진의 사업부분을 외부에 매각했다. 보유 현금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데, 현금 창출력도 예전 같지 않다. 2012년 A+였던 신용등급은 올해 BBB+로 3단계가 떨어지며 자금조달 통로는 점점 더 줄어들었다.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는 2900억원 수준이다.

      먹거리 창출이 절실한 상황에서 재무적투자자(IMM PE·하나금융투자 PE·미래에셋자산운용 PE)와 두산인프라코어차이나(DICC)를 둘러싼 소송도 진행 중이다. FI들은 2011년 DICC 지분 20%를 인수했다. 그러나 3년내 계획했던 기업공개(IPO)는 불발됐고, 2015년 공개매각도 실패했다. 이에 FI들은 두산그룹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고 있다. 1심에서 두산그룹이, 2심에선 FI가 이겼다. 소송가액이 약 7000억원에 달하기 때문에 대법원 판결이 두산그룹에 불리하게 나올 경우, 상당한 재무 부담이 예상된다는 분석이다.

      그나마 두산그룹이 위안으로 삼을만한 것은 DICC가 호황에 힘입어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는 점이다. 두산그룹 입장에서 최악의 경우, FI에 수천억원의 배상 판결을 받더라도 IPO를 통해 자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판단도 있다.

      두산중공업의 자회사인 두산인프라코어(DICC 지분 80% 보유)도 최근 보유중이던 두산밥캣 지분을 시간외대량매매(블록딜)로 매각하며 1400억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회사는 '재무구조개선' 목적이라며 배경을 설명했는데, 추후 그룹차원의 M&A 또는 소송과 관련한 만약의 사태를 대비한 자금 마련 목적이란 해석도 나오고 있다.

      다만 재무상태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하기 때문에 두산중공업의 이번 대규모 M&A 추진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배제하기 어렵다.

      국내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건설 또는 장비분야의 새로운 수익원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만 두산중공업이 대규모 M&A를 추진하면 금융권을 중심으로 빚부터 먼저 갚으라는 소리가 나올 것이기 때문에 현재 상황에서 거래 성사여부를 장담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