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자산, 코스닥 제로쿠폰 CB에 발목…'모범사례'서 '위험투자 표본'으로
입력 2019.10.11 07:00|수정 2019.10.14 10:48
    유동성 막히며 6200억 환매중단 결정
    ‘테티스 2호’는 코스닥 제로쿠폰 CB 집중
    규제 풀리는 사이 공격 투자로 명성 얻어
    ‘위험성 큰 투자’ 평가…시장 충격파 클 듯
    •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는 펀드의 환매 중단 결정 사태가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 코스닥 메자닌 투자에 집중하는 공격적인 운용으로 명성을 얻었으나 시장 침체의 덫까진 피하지 못했다. 사모펀드 규제 완화의 총아이자 성공 모델이란 평가는 빛이 바랬다. 사모펀드 업계에선 시장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분위기다.

      지난 9일 라임자산운용은 ‘플루토 FI D-1호’와 ‘테티스 2호’ 펀드에 재간접 투자된 펀드의 환매를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개 모펀드 설정액은 1조2000억원으로 이번에 환매가 중단된 펀드 설정액은 6200억원이다. ‘플루토 FI D-1호’는 사모 금융상품, ‘테티스 2호’는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메자닌이 주로 편입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테티스 2호’는 스맥, 썸에이지, 아스트, 뉴프렉스 등 코스닥 상장사에 투자했다. CB를 인수하는 형태로 투자가 이뤄졌으며 표면금리는 모두 0%였다.

      이들 투자는 코스닥 기업의 메자닌 투자가 과열되던 시기에 집중됐다.

      작년 4월 출시된 코스닥벤처펀드는 코스닥벤처 기업의 신주를 의무적으로 편입하도록 하는데, 이 영향으로 메자닌 투자 경쟁이 심해졌다. 제로쿠폰 메자닌이 봇물을 이루는 등 발행 조건이 회사에 유리한 경우가 많았다. 자산운용사들은 비싼 값에 코스닥 기업의 메자닌을 인수해야 했다.

      메자닌 투자는 결국 독으로 돌아왔다. 올해 하반기 들어 코스닥 시장이 침체했고, 대부분 기업의 주가도 떨어졌다. 주식 전환을 통한 수익 실현이 어려웠다. 라임자산운용의 유동성으론 만기가 다가온 펀드 투자자의 환매 요청에 응할 수 없었고, 환매 중단 결정을 내리게 됐다.

      라임자산운용은 최근 5년새 5조원의 투자금을 모으며 가장 뜨거운 운용사로 각광 받았다. 2015년 나온 자본금 기준 축소, 등록제 전환 등 사모펀드 제도 개편안의 수혜를 가장 크게 입었다는 평가다. 성장 기업에 적극 투자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 등 규제 개선의 ‘모범 사례’로 꼽는 의견도 많았다.

      이런 1등 운용사가 환매 중단 선언을 하다보니 시장에 충격파를 안기기 충분했다.

      라임자산운용에 동정론을 갖는 의견도 없지는 않다. 이번 사태의 단초는 7월 이후 불거진 파킹 거래 및 수익률 돌려막기 의혹과 금융감독원 조사다. 이 혐의를 받는 거래들은 라임자산운용이 조직적으로 관여했다기 보다는 일부 운용역의 일탈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문제가 불거지면 바로 발을 빼는 기관투자가들의 요청에 대응하려면 유동성 고갈이 불가피했을 것이란 의견도 있다.

      그러나 라임자산운용의 운용 방식을 감안하면 언젠가 불거질 수 있는 문제였다는 평가가 많다. 몇 년 사이 메자닌 투자의 1인자로 떠오른 배경엔 그만큼 남들이 따르기 어려운 공격적인 투자가 있었다는 것이다. 웅진그룹의 코웨이 인수 때 대규모 메자닌 투자를 검토하기도 했다. 메자닌 위주의 투자 전략은 최근 첫 공모펀드를 출시한 타임폴리오운용의 행보와도 대비됐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수익률 면에서도 다른 운용사들이 2~3을 이야기 하면 2~3%를 뜻하는데, 라임자산운용은 2~3배를 말한다고 할 정도로 시장에선 공격적이고 위험한 자산에 투자한다는 인식이 강했다”고 말했다.

      라임자산운용은 한동안 홍역을 앓을 것으로 보인다. 펀드 투자기간 동안에 특별한 사유가 발생했다면 수익자 동의를 얻어 환매 중단을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번엔 투자자들이 만기에 정상적으로 돌려달라는 데 응하지 못한 경우다. 애초에 펀드 만기와 투자 상품 만기가 엇갈려 있기 때문에 대응하기 쉽지 않았다. 과감한 투자 전략을 뒷받침할 안목을 입증하지 못했다. 개인은 물론 기관의 자금을 받기 어려워질 것이고 사세 축소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더 큰 문제는 사모펀드 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점이다.

      이번 사태가 자산운용사의 ‘옥석’을 가리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1위까지 흔들리는 판에 신뢰를 얻을만한 곳이 얼마나 있을지는 미지수다. 라임자산운용이 징계를 피하게 되고 뒤늦게나마 투자자에 돈을 돌려준다 해도 기관과 개인들의 투자 심리가 예전처럼 살아나긴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규제 완화 일변도이던 정부의 정책 방향도 재설정될 가능성이 크다.

      한 자산운용 업계 관계자는 “라임자산운용이 경징계라도 받게 되면 라임은 물론 다른 운용사들도 기관 자금을 받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정부가 법을 손대 사모펀드 시장을 규제하지는 않더라도 가능한 범위에선 가장 깐깐하게 관리·감독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