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보사, 운용사에 투자 위탁 다시 늘려...운용수익률 내년 실적 변수로
입력 2021.12.10 07:00
    운용자산이익률 평균 3%로 점진적 하락세 보여
    손해율 상승 억제 등 올해 일회성 요인 사라지며 자산운용 수익성 중요도 부각
    • 보험사들이 자산운용사에 투자 위탁을 다시 늘리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과거에도 보험사들의 자산운용 아웃소싱은 활발히 이뤄졌으나, 대형 보험사들 중심으로 계열사 ‘일감 몰아주기’로 비판을 받은 바 있다.

      하지만 저금리 시대에 국공채 투자로는 한계를 느낀 보험사들은 회사 규모 관계없이 다시 운용사 위탁을 늘리는 추세다. 내년 생명보험 업계가 올해보다 어려워진다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운용수익률이 내년 실적 변수로 떠오른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8일 생명보험협회에 따르면 올해 9월 말 기준 국내 23개 생보사의 운용자산이익률은 3%로 집계됐다. 

      운용자산이익률은 투자 수익률 지표로서 보험사의 자산운용 능력을 나타내는데, 수치가 낮을수록 투자 상황이 좋지 못하다는 뜻이다.

      주요 생보사 중 운용자산이익률이 가장 높은 곳은 푸르덴셜생명(3.7%)이었다.  

      ‘빅3’ 생보사 중에는 한화생명이 3.5% 운용자산이익률을 올리며 꾸준히 생보사 전체 평균 운용자산이익률을 웃돌았다. 교보생명의 경우 3.3%를 기록하며 점진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생명의 경우 채권 매각 등에 보수적인 기조로 일관해 2.8% 이익률을 내는 데 그쳤다.

      금융지주 보험 계열사들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신한라이프생명(2.8%), NH농협생명(2.8%), 미래에셋생명(2.9%) 등의 운용자산이익률은 2%대에 머무르며 전체 평균 운용자산이익률인 3%보다 낮았기 때문이다.

      외국계 보험사들은 3%대의 이익률을 거뒀다. 이외에도 AIA생명(4.3%), 처브라이브생명 (3.6%), ABL생명 (3.3%), 푸본현대생명(3.2%) 등을 기록하면서다. 

      다만 메트라이프생명의 운용자산이익률이 크게 악화해 0% 수준을 나타내고 있는 상태다. 2019년 주요 생보사 중 운용자산이익률 1위였던 모습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이런 상황에서 보험사들은 주식·채권 운용 인력과 자산을 넘기기 시작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일 KB자산운용은 푸르덴셜생명과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했다. KB그룹은 이원화된 보험자산 운용 체계를 KB자산운용으로 단일화하고 있다. KB자산운용은 기존 KB손해보험과 KB생명의 보험자산 역시 일부 운용해왔기 때문이다.

      앞서 한화생명도 2016년 58조원에 달하는 증권운용사업부를 분리해 한화자산운용으로 이전했다. 삼성생명은 2015년 국내외 주식·채권 운용자산 50조원과 자산운용 관련 부서를 삼성자산운용에 모두 넘겼다.

      보험연구원 조영현 연구위원은 “운용자산을 직접 운용하는 형태보다는 운용 지시나 관리로 인력 변화가 발생 중이다”라고 말했다. “보험회사는 대부분 장기채권을 보유하고 있다. 금리변동에 자본변동을 최소화기 위해서다. 하지만 저금리시대에 자산운용 수익은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딜레마에서 수익성도 높여야하니 자산운용사에 맡기는 게 바람직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라고 덧붙였다. 

      개별보험사들도 위탁 운용 형태로 진행하고 있으나, 그룹 계열 보험사들이 그룹사 전략 차원에서 더 적극적으로 자산운용을 맡긴다는 평이다.

      고유선 삼성자산운용 리서치센터장은 “보험사에서 과거보다 운용 전문성을 고려한 것 같다. 운용에 전문성이 있는 자회사에서 운용자산을 하는 게 맞지 않겠느냐는 공감대가 그룹사에서 형성됐다”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에서는 저금리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생명보험사가 자산운용수익률을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로 바라보고 있다.

      실제로 생보업계의 운용자산이익률은 ▲2017년 3.5% ▲2018년 3.6% ▲2019년 3.5% ▲2020년 3.1%로 꾸준한 하락세를 보였으며, 올해 3월부터 3.0%에서 정체 중이어서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자산운용의 배분 이슈로 바라볼 수 있다. 보험사 운용인력은 채권투자에 특화된 인력이 많다. 문제는 저금리 시대에서 국채 수익률이 2% 넘기 어렵기 때문에 채권 위주의 투자로는 한계를 느낀 것 같다”라고 말했다.

      보험사가 자산운용사에 운용자산을 맡기는 또 다른 이유로는 ‘규모의 경제’가 거론된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국내뿐만 아니라 보험사의 아웃소싱은 세계적인 트렌드다. 좋은 투자처들은 운용자산 규모를 많이 본다. 소위 ‘큰 손’들부터 받아주기 때문에 운용금액이 커지면 수익률이 높은 투자처 접근성이 높아져 보험사가 자산운용사에 운용자산을 맡기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결국, 운용수익률이 내년 생명보험사의 실적 변수로 떠오를 것이란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올해 의료 이용량 감소로 인한 손해율 상승 억제 등 일회성 요인이 내년에 사라지면서, 생명보험 업계의 수익성 지표도 하락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보험 영업 환경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내년에 2차례 금리 상승이 예고됨에 따라 자산운용 여건은 올해보다 개선되기 때문에 자산운용의 수익성이 회사 실적 영향에 중요할 것으로 보여진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