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짜리 서울시장 개발정책에 사활 건 건설업계...내년 먹거리 다툼 치열
입력 2021.12.15 07:13
    잠실 MICE 사업 등 내년도 굵직한 수주 사업 즐비
    정비 사업도 기지개...내년 건설경기 회복 기대감↑
    • (그래픽 = 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 = 윤수민 기자)

      주거 정책 전환에 따른 중장기적 기대감은 여전하지만, 당장 건설업계의 내년 먹을거리 마련은 만만치 않은 과제다. 이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개발정책에 건설사들이 사활을 걸고 달려드는 결과를 낳았다. MICE(대형복합시설)와 신속통합기획(신통기) 사업이 대표적이다. 

      공급 위주의 정책 변화에 따른 업황 회복은 다소 시간이 걸릴 예정인 만큼, 건설사들이 대규모 프로젝트 위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임기 1년짜리 서울시장이 추진하는 정책에 지나치게 편중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최근 서울시가 추진하는 잠실운동장 일대 MICE사업에 한화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사업 진행에 속도가 붙고 있다. 서울 내 ‘알짜’ 위치에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개발사업인 만큼 다수 건설사 및 금융사들이 해당 사업에 참여하게 될 예정이다. 

      이번 ‘잠실 스포츠·마이스(MICE) 복합공간 조성 민간투자사업’은 잠실 종합운동장 일대 35만여㎡의 부지를 전시·컨벤션 시설, 야구장, 스포츠 시설과 호텔, 문화·상업시설, 업무시설 등 종합 공간으로 조성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2029년까지 사업비 약 2조원 이상 투입, 민간이 사업비를 전액 부담하고 40년간 운영해 투자비를 회수하는 수익형 민자사업(BTO)으로 분류된다. 

      그동안 서울시는 한화컨소시엄과 무역협회 컨소시엄 두 경쟁자를 놓고 지난달 말부터 사업제안서를 검토하는 등 평가절차를 진행해왔다. 한화컨소시엄은 한화건설, HDC현대산업개발, 금호, 중흥, 우미건설 등으로, 무역협회 컨소시엄은 GS, 현대, 포스코, 대우, 롯데건설 등으로 구성됐다. 

      MICE 개발사업은 그동안 건설사 뿐 아니라 주요 금융사, 증권사들이 대거 눈독을 들여온 알짜 사업으로 꼽힌다. 오피스텔이나 연구, 업무, 판매시설 등 다양한 부가시설을 들일 수 있는 데다 기술력이 필요한 개발사업인 만큼 향후 트랙레코드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마곡 MICE 복합개발사업, 인천 청라 의료복합타운, 수서역 환승센터 복합개발사업 등을 놓고 건설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점도 이 때문이다. 

      잠실 MICE사업 외에 서울시 대형 정비사업 역시 건설업계에 기대감을 키우는 대형 프로젝트다. 최근 서울시가 정비사업의 분양 속도를 높이고자 기존 공공기획 대신 신속통합기획을 내세우며 착공 시점이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무르익고 있다. 

      신속통합기획은 정비사업의 주도권을 주민이 쥐고, 공공은 후선에서 지원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층수규제 완화나 용적률 상향 등의 혜택 내용을 담고 있어 현재 서울 시내 강남이나 여의도를 비롯 약 20곳 단지가 참여를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 시장 반응은 긍정적이다. 지난달 말 모집된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공모에 약 102곳에 이르는 단지가 지원했다. 지역별로 보더라도 강남권의 송파구 마천2·마천성당구역과 강남구 일원동 대청마을, 대치동 미도아파트, 은마아파트, 여의도 시범아파트 등 주요 지역이 신청서를 냈다. 강남구 압구정동의 압구정3구역 역시 신속통합기획에 참여할 예정이다.

      신속통합기획으로 그동안 좀처럼 속도가 붙지 않던 대단지 재건축 사업을 위주로 가시화되고 있다. 압구정 3구역, 대치 미도아파트 단지 등이 주요 사업으로 꼽힌다. 압구정 재건축은 2016년부터 사실상 진행이 멈춰 있는 상태다. 대치 미도아파트 역시 2017년 정비구역 지정 신청서를 냈다가 공원시설 재배치 문제로 협의가 지지부진해진 바 있다.

      건설사들이 정비사업이나 복합개발사업 등에 주력하는 이유는 단기 실적 확보 차원에서 주택 사업엔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선 이후 주거용 부동산 정책 변화와는 관계없이, 내년까지는 분양가상한제 여파가 지속될 수 있는 까닭이다.

      실제 올해 서울 아파트 분양 추정물량은 약 1만 세대로 작년 대비 7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2000년 이후 최저 수치를 기록하는 것이다. 지난 7월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 이후 서울에서 래미안 원베일리를 제외하면 대형 단지 분양 사례는 자취를 감췄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분양가상한제 개선안을 내놨지만 연말까지 분양 실적 회복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해외 수주사업에 대한 기대감도 점차 커지는 추세다. 최근 주요 중동국의 재정수지가 개선되고 있는 데다 글로벌 시장에서 토목 및 인프라 분야의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 한 해 유가 및 원자재 가격이 반등하고 있는 점도 내년 해외수주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내년 서울 지역 분양 실적은 신규 단지의 분양 확대보다는 기존 이주나 철거 이후 착공이 들어간 단지 내 실질적인 분양 시기가 도래한 데 따른 실적 회복이 위주일 것”이라며 “지난해 지연된 단지의 물량이 반영되는 효과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