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못하는 성장주 '네카오'...카카오는 플랫폼 신뢰마저 잃었다
입력 2022.01.20 07:00
    네이버 분기 영업익 성장률 0.1% 추정...온라인 소비도 꺾여
    금리 오르며 성장주 투자 유인 줄어...PER 30배도 '덜덜'
    '국민주' 된 카카오, 스톡옵션 논란으로 '비호감' 이미지 쌓여
    분할-상장 등 카카오 성공 공식 틀어지며 '상황 더 심각'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내수 소비가 다시 얼어붙고 있다. 금리는 치솟고 있다. 끝없이 성장을 거듭할 것만 같았던 인터넷ㆍ모바일 기반 성장주들의 실적도 지난해 3분기를 고점으로 하락을 시작(피크아웃)했다. '코로나19 이전의 세상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며 네이버ㆍ카카오의 주가순이익비율(PER) 목표치를 50배까지 높여 잡았던 증권가는 '30배도 어렵겠다'며 후퇴 중이다.

      여기에 '국민 기업'이던 카카오는 '국민 비호감'의 멍에까지 썼다. 카카오페이 임원 스톡옵션 매도 사태가 일파만파 번지며, 이전의 사생활 침해ㆍ골목상권 침해 논란까지 재점화하는 중이다. '비호감 플랫폼'이란 차가운 불처럼 존재하기 어려운 개념이다. 발빠른 일부 외국계 투자은행은 이미 카카오 목표 주가를 30% 이상 끌어내리며 발을 빼고 있다.

      연초 이후 네이버 주가는 9%, 카카오 주가는 16% 하락했다. 이 기간 코스피 지수 하락율은 2%였다. 지난해 여름 주가 최고점과 비교하면 네이버는 25%, 카카오는 무려 46% 하락했다. 불과 6개월 사이에 반 토막이 난 것이다.

      지난해 3분기 진행된 네이버ㆍ카카오의 1차 주가 하락은 경제 재개 기대감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로 인한 것이었다. 하향 안정화 추세이던 이들의 주가가 연초 이후 다시 급락하기 시작한 건 실적 우려가 현실화하기 시작한 까닭이다.

      삼성증권은 최근 네이버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3502억원으로 기존 대비 7% 낮췄다. 컨센서스(시장 평균 추정치) 대비 11% 낮은 수준이다. 전망치 기준 네이버의 분기 성장률은 0.1%에 그친다. 

      카카오의 조정폭은 더 크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를 1774억원으로 기존 대비 26% 낮췄다. 컨센서스 대비 15% 낮다. 전망치 기준 카카오의 분기 성장률도 5.5%에 그친다. 마케팅비 지출ㆍ정기 상여ㆍ인력 충원 등의 비용 요인이 컨센서스 대비 실적 추정 하향의 배경으로 꼽힌다.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물론 이것이 전부는 아니다. 실적보다 더 빠르게 낮춰지고 있는 것이 PER 배수다. 배경은 금리다. 한국은행이 선진국 중 가장 빠른 속도로 기준금리를 올리며, 성장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무너졌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여름만 해도 네이버ㆍ카카오에 PER 50배를 적용하는 건 타당한 논리로 받아들여졌지만, 지금은 30배를 적용하는 것도 조마조마한 상황이다.

      금리 상승기에 오미크론변이로 인한 거리두기로 소비마저 침체 조짐을 보이고 있다. 기획재정부의 2022년 1월 최근경제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1.9%포인트 하락했다. 12월 온라인 매출액 증가율(전년동월비)도 16.8%로 10월의 24.5%를 고점으로 2개월 연속 하락 추세를 유지했다.

      이를 두고 카카오페이증권은 "금리 상승에 따른 성장주 섹터로의 수급약화 등 부정적인 시장 환경 아래서 (중략) 증가하는 글로벌 투자비를 상쇄할 신규 성장동인이 부재하다"고 분석했다. 연초 이후 외국인과 기관은 카카오에서 1조원, 네이버에서 7000억원어치를 각각 순매도했다.

      카카오의 경우 상황이 더 심각하다는 평가다. 지금까지의 성장공식이 무너진 까닭이다. 지금까지의 카카오 성장 공식은 ▲카카오톡의 긍정적 이미지와 이용자 수를 바탕으로 ▲사업부 분할 및 인수합병으로 성장하고 ▲계열사를 상장시켜 생긴 자금으로 더 공격적인 확장 정책을 펼치는 형태였다.

      카카오의 친밀한 이미지에 이미 금이 가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이슈가 됐던 카카오택시가 대표적이다. 카카오택시가 택시운전사들에게 요금을 부과할 땐 이슈가 크게 되지 않았지만, 부과 대상이 대중이 되자 반발이 크게 일었다. 미용실 등 골목상권 침해 이슈도 재점화했고, 최근 오픈톡 동영상 검열 논란이 일며 2014년의 감청 논란까지 다시 언급되기 시작했다.

      한 증권사 트레이더는 "대중에게 '비호감'인 플랫폼은 생존할 수 없다"며 "카카오택시 논란 이후 카카오 비중을 다소 줄였고, 개인적으로도 우티나 아이엠택시 등 대체재를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카카오페이 스톡옵션 매도 논란은 기름을 부었다. 매크로 환경 변화에 따른 성장주의 주가 하락 국면에, 상장 한 달 후라는 전례없는 시점에 임원들이 수백억원의 매도를 쏟아붓자 개인투자자들을 중심으로 반발의 목소리가 크게 일어난 것이다.

      문제는 카카오가 이미 국민주 반열에 올랐다는 점이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말 기준 카카오의 소액주주 수는 약 13만명이었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으로는 약 202만명으로 2년간 15배 늘었다. 카카오페이에 청약해 공모주를 받은 개인투자자 수는 약 181만명이었다.

      주식을 하는 웬만한 개인투자자는 거의 카카오ㆍ카카오페이 주식을 가지고 있고, 이번 하락장에 손실을 봤다는 추정이 가능한 지점이다.

      2019년말 611만명이었던 개인투자자 수는 현재 1000만명을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계좌 수는 이미 5000만좌를 돌파했다. '전국민 주식투자 시대'가 열리며 유력 대통령선거 후보들도 관련 정책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이다. 카카오에 결코 유리하지 않은 정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운용역은 "이전부터 카카오에 평균 50%에 달하는 지주사 디스카운트(할인)를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았는데, 이제 시장이 이를 가격에 반영하기 시작했다고 보고 있다"며 "LG에너지솔루션이 촉발한 물적분할-상장 규제 도입 이슈 역시 카카오의 성장성을 제약할 수 있는 요인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