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상승기 수익성 나빠진 캐피탈사..."메리츠·애큐온 등 모니터링 필요"
입력 2022.09.07 18:23
    실물·금융시장 둔화로 높아진 부동산 여신 부실 가능성
    부동산 개발사업 규모 23.6조원…내년 상반기 만기도래 많아
    A급·비은행계 캐피탈사, 높은 위험 부동산개발사업 비중 높아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금리 상승에 실물·금융시장 성장 둔화로 캐피탈사의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부동산 호황기에 캐피탈사들이 부동산개발사업 규모를 늘려왔는데, 자금 회수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여전채를 통한 자금조달도 난항을 겪으면서 자산건전성 관리 및 투자자금 회수 여부 등이 캐피탈사 신용등급 전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7일 나이스신용평가(나신평)는 캐피탈사 크레딧 이슈 점검 웨비나를 열고 캐피탈사의 고위험 익스포져 현황과 리스크 요인을 분석했다. 기준금리 상승 및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하면서 여전채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면서 캐피탈사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동영호 나신평 책임연구원은 “여신 포트폴리오가 중소기업 및 저신용 차주에 집중돼 있어, 조달비용 증가분을 여신금리에 즉각 반영하기 쉽지 않다”며 “여신금리 인상 시 한계 차주 여신에 대한 대손비용 증가 가능성도 존재해 금리 상승은 캐피탈사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실물·금융시장의 성장 둔화세가 이어지면서 부동산 여신 부실 발생 및 투자금융 회수 지연 가능성이 높아진 점도 문제다. 나신평에 따르면 캐피탈사의 2022년 3월말 부동산 개발사업 실질 익스포져는 약 23조6000억원이다. 금융감독원에 보고된 업무보고서 기준으로는 18조1000억원으로, 알려진 규모보다 5.5조원 더 컸다. 

      캐피탈사 부동산 개발사업의 만기도래 시점이 2023년 6월 말 이전에 주로 몰려있어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부동산 개발사업의 40% 이상이 2023년 6월 말 이전에 만기가 돌아오는데, 신용도 A급 및 비은행계 캐피탈사들의 비중이 신용도 AA급 및 은행계 캐피탈사 비중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 책임연구원은 “여전채 수요 감소로 캐피탈사의 단기성 차입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데, 부동산 개발사업 자산 회수가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게 되면 캐피탈사 유동성 부담이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나신평이 캐피탈사의 부동산 관련 여신 운용자산 분석 결과, A급과 비은행계 캐피탈사의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개발사업의 만기도래시점을 분석한 결과, 2023년 6월 이전 만기가 도래하는 브릿지론과 PF의 비중이 A급 캐피탈사와 비은행계 캐피탈사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도가 높은 비주거용/서울 외 부동산 개발사업 비중 역시 A급과 비은행계 캐피탈사가 높았다. 

      특히, A급 캐피탈사 브릿지론의 82%, 비은행계 캐피탈사 브릿지론의 83%가 2023년 6월 말 이전에 집중돼 있다. 자산회수가 계획대로 되지 않을 경우, 추가 자금 조달 또는 여신 만기 연장이 불가피해 유동성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동 책임연구원은 “A급/비은행계 캐피탈사의 부동산 관련 여신의 만기구조가 더 단기화돼있어 자산회수 및 자금조달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일반대출 내 PF&브릿지론, 부동산 담보대출도 A급/비은행계 캐피탈사의 부동산 익스포져 부담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특히, 메리츠캐피탈과 애큐온캐피탈의 경우 외부환경에 따라 리파이낸싱 위험도가 높다는 분석이다. 자산회수와 신규 자금 조달 확대 등 보수적인 자산·부채종합관리(ALM) 계획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나신평은 캐피탈사의 자산건전성 관리를 통한 투자자금 회수 및 유동성 관리 능력 등을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동 연구원은 “운용 만기가 장기화돼 있는 저위험 사업포트폴리오 보유 여부 및 회수 지연으로 인한 현금흐름 부담을 감내할 수 있는 충분한 수준의 자본적정성 및 유동성 확보 여부가 주요 모니터링 요인”이라며 “조달 장기화 수준, 조달원 다각화 등 조달 측면의 안정성도 신용등급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