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들은 행동주의 펀드의 '정의와 공정'을 신경쓸까
입력 2023.02.06 07:00|수정 2023.02.06 09:16
    Invest Column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불과 몇 년새 정당한 권리를 찾는 주주들의 목소리는 급격하게 커졌고, 주주들은 세력화 그리고 집단화하기 시작했다.

      SK를 공격한 소버린, 현대차와 삼성그룹을 위협한 엘리엇이 등장했을 때만 해도 행동주의펀드는 그저 남의 나라 악덕(?) 자본 수준으로 치부 받았다. 2023년 현재, 득세하기 시작한 한국형 행동주의펀드들은 그야말로 자본시장을 종횡무진 누비며 전성기를 누리고 있다.

      강성부 펀드로 잘 알려진 KCGI의 성공(?) 이후 트러스톤자산운용(태광산업), 얼라인자산운용(SM, 금융지주 등), 안다자산운용(KT&G), 플래시라이트캐피탈(KT&G) 등이 혜성처럼 등장했고 많은 주주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행동주의펀드가 주식을 사들인다"는 여의도의 소문은 너무나 빠르게 퍼진다. 이는 곧 기업의 주가 상승과 직결된다. 주식 매집을 공식화하기 전부터 이슈화하고 주주 게시판을 달군다. 오너쉽이 위협 받고, 경영권이 위태로우면 지분 매입 경쟁에 불이 붙을 것이란 막연한 전망이 주가 상승을 부추킨다. 실제로 유의미한 지분 대결이 펼쳐진 전례는 거의 없음에도 그렇다.

      일부 주주들이 행동주의펀드를 지지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분쟁 이슈로 주가가 상승하고 이슈가 사라질 때까지 주가는 유지된다. 어떤 주주에겐 탈출의 기회를, 오랜 투자자에겐 차익 실현 기회를 준다.

      권리를 활용한 정당한 주주의 요구는 선(善), 주주의 권리를 무시한 오너 또는 기업은 악(惡)으로여겨지는 명확한 흑백구도는 주주들에게 상당히 매력적으로 비쳐진다. 고인물에 돌을 던져 파장을 일으키고 반대 급부로 주가까지 끌어올리겠다는데 주주의 입장에선 손해 볼 일이 없다. 그렇기에 주주들의 입맛에 맞을 수밖에 없는 터무니 없는 배당 요구도 서슴지 않는다. 누군가는 이를 두고 사실상의 매표(買票) 행위로 규정했다.

      이 과정에서 행동주의펀드가 앞세운 목적과 대의 명분, 기타 등등의 선언에 대단히 관심을 갖고 귀를 기울이는 투자자들이 과연 몇이나 될까?

      사실 행동주의펀드는 오너의 전횡, 사업적 문제, 지배구조의 낙후화, 주주친화 정책의 부족 등등 기업가치의 저평가 요인들을 찾아내 개선을 요구하고 이를 통해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겠다는 것이 목표이자 명분이다. 주주들이 여기에 편승한다면? 주주총회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고 이사회 진입에 성공한다면 공식적인 경영 간섭도 가능하다.

      주주로서의 정당한 권리 행사를 비난할 순 없다. 오너의 독재에 맞서고, 곳간을 풀어 주주들과 더 많이 나누라는 제언은 때로는 정의롭고 공정하게 비쳐지는게 사실이다. 현실적이진 않지만 대전제가 그럴싸하다.

      이들의 기업을 향한 공세 끝에 대체 가능한 마땅한 대안이 있는지, 그런 대안이 현실 가능한지는 분명 따져봐야 한다. 그러나 이를 깊이 파헤치고 굳이 분석해 주주와 회사의 시시비비를 가려내는 이해관계자가 모호하다는게 맹점이다. 의결권 자문사 정도가 주주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하지만 이 또한 공신력과 신뢰도가 천차만별이다.

      역사가 짧은 한국형 행동주의펀드의 끝은 알 수 없다.

      행동주의펀드가 과연 공격하는 회사의 ▲완벽하고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내 ▲이익률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고 ▲건전한 지배구조를 갖춘 ▲주주친화적인 기업을 만들어 ▲배당 수익으로 출자자(LP)들의 수익을 보장하는 전략을 무기로 삼아 진정한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체인지는 확인할 길이 없다. 물론 각 회사 그리고 펀드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제까지 비쳐진 행동주의펀들의 모습은 이것과는 거리가 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이들이 추구하는, 아니 내세우고 있는 명제가 시장에서 인정받지 못했단 말이 더 정확하다.

      한진그룹 오너의 전횡을 비난하던 KCGI는 이해관계에 따라 결국 오너일가 조현아 씨와 손을 잡았다. 추후엔 막대한 시세차익과 함께 투자금회수(엑시트)에 성공했다. 오너가 바뀐 것도, 경영진을 바꾼 것도, 획기적인 주주환원책이 등장한 것도 아니다. 정책자금의 등장으로 인한 갑작스런 패배였고, 화려한 등장과 달리 너무나도 조용한 퇴장이었다. 

      지금은 의료기기 전문업체에 대한 공세를 준비중이지만 이마저도 패색이 짙다. 사실 주가 상승으로 인한 수 백억원의 확정 수익이 보장돼 있다. 막대한 자본력을 갖춘 최대주주 PEF에 맞서 공생할 수 있을지, 아니면 공세를 계속할지는 지켜봐야한다.

      주주의 목소리가 커지면 기업과 오너는 어느 순간 소위 을(乙)이 되기도 한다. 주주 제안을 일정 부분 받아들이고 대응해야한다. 주주 제안을 한다면 공식적인 표대결을 펼쳐야하고, 이에 상응하는 현실적인 안건을 제시해야한다. 실제로 국내 최대규모 엔터테인먼트 기업은 행동주의펀드의 요구를 받아들였다. 가까운 나라 일본에선 주주에 떠밀려 자산을 매각하고, 지배구조를 개편하는 100년 기업이 많다.

      자본시장에서 기업은 수비수, 행동주의펀드는 공격수의 역할이 고착화했다. 펀드가 공세를 지속하지 않는한 존재의 이유가 사라진다는 의미다. 언제나 분란이 필요하다는 말과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 공정과 정의를 앞세우고, 선량한 감시자를 자처하는 순간부터는 진정성을 의심받는게 당연하다. 행동주의펀드는 사모펀드(PEF)들의 수식어와 같은 '기업사냥꾼'이란 단어를 과연 받아들일 수 있을까? 행동주의펀드들의 끝을 돌아보게 된다. 사실 투자의 결과는 숫자로 증명하면 그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