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볼빙 늘더니만...' 치솟는 카드사 연체율, 커지는 신용경색 우려
입력 2023.05.16 07:00
    카드사 연체율 1% 돌파...2금융권도 상승
    치솟는 속도 가파르고, 지속 가능성 커
    지난해 리볼빙 폭증이 전조...신용경색 빨간불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카드사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신용경색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작년만 하더라도 카드사 리볼빙이 늘어나다 이제는 급기야 연체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당장 지금과 같은 수준의 금리가 이어진다는 전망이 다수란 점에서 연체율 급등은 단기적인 이슈로 끝나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짙다. 일각에선 신용경색 국면에 접어드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신한·KB국민·하나·우리카드 등 국내 금융지주계열 카드사 평균 연체율은 0.23%포인트 상승한 1.26%를 기록했다. 카드사별로 살펴보면 신한카드는 연체율이 1.37%로 금융지주계열 카드사 중에 최고를 기록했다. 국민카드는 1.19%, 하나카드는 1.14%, 우리카드는 1.35%를 기록했다. 

      카드사 연체율이 2%에 진입하면 위험 수준으로 인식한다. 연체율 상승속도도 빠르고, 무엇보다 하반기에는 코로나 대출 만기 연장, 상환 유예가 종료된다는 점에서 카드사 연체율이 더욱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많다.

      카드사들은 연체율 상승에 대비해 충당금 규모도 늘리고 있다. 신한카드는 1910억원, 삼성카드 1896억원, 국민카드 1782억원, 하나카드 1047억원, 우리카드 1030억원 순으로 충당금을 쌓았다. 

      신용카드 연체율 상승은 신용경색의 전조증상으로 파악된다.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고 부채 상환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면 신용카드 결제부터 미루기 때문이다. 

      작년 하반기부터 이미 신용카드 결제 대금의 일부만 먼저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은 결제성 리볼빙 서비스 잔액이 1조원 이상 증가했다. 카드 현금서비스 이용액도 2조원이 넘게 증가했다.

      급기야 올해 들어선 카드사 결제 대금을 갚지 못하고 연체율이 급등하는 것이다. 문제는 이렇게 악순환에 들어가면 상황은 더욱 안좋은 방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카드사 연체가 시작되면 연체 이력이 다른 카드사와 공유되고, 신용등급이 하락한다. 이후 신용카드 이용 정지 및 다른 카드사 카드 이용에도 제약이 생기고, 금융거래에 제약이 생길 수 있다. 

      통상 이렇게 카드 연체가 될 경우 다중채무자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금융권 전체적으로 연체율이 올라가게 된다. 이미 저축은행을 비롯한 2금융권도 카드사와 마찬가지로 연체율이 치솟고 있다. 일각에선 과거 2002년 카드사태 가능성까지 경고하고 있다. 당시 카드사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신용불량자만 400만명에 육박했다. 현재의 상황은 그때보다 심각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2002년 카드사태는 무분별한 카드 발급 등이 원인이었지만, 현재의 상황은 가계의 기초체력이 약해진 상황에서 금리 상승 등 가처분 소득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라며 ”카드사뿐만 아니라 금융권 전체적으로 확산될 우려가 있다“라고 말했다.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신용경색이다. 가계발 신용불량 사태로 금융권 전반적으로 연체율이 올라가면 은행을 비롯한 제2 금융권에서 건전성 강화를 위해 대출 회수 등에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 금융사들이 시중자금을 회수하면서 이미 부동산 PF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사를 비롯해, 기업들로 신용리스크가 전이될 수 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지원을 한다고 하지만 결국 기업도 가계도 눈덩이처럼 불어난 이자를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다“라며 ”금리가 급격하게 하락할 가능성도 크지 않아, 이런 상황이 하반기에도 이어진다면 신용경색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