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 끊이지 않는 평판 리스크…"창사 이래 최대 위기"
입력 2023.06.26 07:00|수정 2023.06.26 16:40
    취재노트
    잇따른 부실 공사…벽면 파손·주차장 붕괴·누수
    브랜드 평판 악화되면 1군 건설사도 안심 어려워
    "자금난이 아닌 생존 여부가 문제될 수도"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GS건설이 브랜드 평판 리스크에 직면했다. 붕괴 사고에 부실공사·세무조사까지 건설사가 겪을 악재란 악재가 연달아 터지고 있다. 시공능력평가 5위의 1군 건설사인 GS건설이 창사 이래 최악의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가 공공연히 들린다.

      첫 구설수는 외벽균열이었다. 지난 3월 말 GS건설이 시공한 서울역센트럴자이 아파트 벽면 일부가 파손됐다. 하중을 받는 기둥이 아닌 장식 기둥 상부에서 외부 마감 석재가 떨어졌다. 아파트는 최근 정밀안전진단 결과 '이상 없음' 판정받았다. 현재 입주자대표회의를 중심으로 GS건설을 상대로 하자 소송이 이어지고 있다.

      한 달 만에 '해프닝'이 '논란'으로 바뀌었다. 인천 검단신도시 '안단테'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서 콘크리트 슬래브가 무너지는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붕괴 면적은 총 970㎡다. 농구장 2개를 합친 규모보다 크다. 슬래브 상부와 하부 철근을 연결하는 전단보강철근 30여개가 시공 과정에서 누락됐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는 약 10톤에 달하는 양이다.

      GS건설의 자체 조사를 통해 사과와 재발방지를 약속했지만,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공개적으로 불신을 드러냈다.

      이후 국세청은 GS건설에 대한 특별세무조사를 착수했다.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은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와 관련 자료를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서울청 조사4국은 기업들의 탈세나 비자금 조성 등의 혐의를 포착하고 나서는 조직이다.

      이후에도 부실공사 이슈는 이어졌다. 최근 서울 강남구 개포동 개포자이프레지던스에서 입주 3개월 만에 주차장·단지 내 시설 등에서 침수·누수가 발생했다.

      아울러 GS건설은 6월 초 부산진구 시민공원 인근 재정비촉진지구 재개발사업에서 시공사 지위를 박탈당했다. 조합과 공사비 증액 문제로 갈등을 겪다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타 재개발 구역에서도 공사비 인상에 따른 사업 지연 위기를 맞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각종 악재가 겹겹이 쌓이고 있다. 문제가 해결되는 속도보다 새롭게 터지는 속도가 더 빠른 탓이다. 

      부실 공사 이슈가 특히 GS건설에 '치명적인 타격'이 될 거란 평가다. 안전도는 건설사의 가장 기본적인 역량이기 때문이다. 국토부의 '안전관리 수준평가'에 따르면 GS건설은 관리 수준이 2022년 '보통'으로 2021년 '우수' 대비 한 단계 떨어졌다.

      주주들의 불만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월 21일 올해 최고가(2만4450원)을 기록한 후 GS건설의 주가는 부실공사 이슈가 터질 때마다 출렁이고 있다. 6월 23일 주가는 2만50원으로 올해 최고가 대비 18% 하락했다. 최근 1년간 주가 그래프는 말 그대로 참담하다.

      한때,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직후에는 금융투자업계에서 GS건설의 수익성·재무부담·자금조달 등 이슈에 집중하기도 했다. 

      당시 한국투자증권은 GS건설이 직면하게 되는 리스크로 ▲재시공 원가 발생 ▲재시공 및 입주 지연에 따른 수분양자 지체상금 지급을 꼽았다. 지체상금은 약정한 기일 내에 공사를 완성하지 않은 경우 수급인(시공사)이 도급인(시행사)에게 지급하기로 정해놓은 손해 배상액이다.

      신용평가사는 GS건설이 제2의 HDC현대산업개발이 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안전진단 후 처분 결과를 주목했었다. 신용등급이 떨어지면 PF 유동화증권 차환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재무부담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GS건설이 추진했던 5000억원 규모 자금조달에 미칠 영향도 주목했다. GS건설은 부진한 분양 실적을 기록한 대구 '대명 자이 그랜드시티’의 사업비를 마련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고가 연달아 터지자 시장은 GS건설의 '금전'이 아니라 '생존'을 우려하기 시작했다. 부실 공사 이슈가 멈추지 않으면 1군 건설사라도 '나락 가는 건 한순간'이라는 것이다.

      건설사 브랜드 평판이 악화할 경우 최악의 시나리오는 시행사·조합의 외면이다. 시공사 선정 단계에서 배제되는 것이다. GS건설의 브랜드 '자이'가 더 이상 시장에서 먹히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결국 사후 처리로 나갈 돈은 많은데, 주머니는 가벼워지는 셈이다. 부실공사가 다달이 터지는 지금, GS건설은 말 그대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