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자전·파킹거래 조사 마친 당국에 숨죽인 증권가...관건은 '뒷돈' 여부
입력 2023.06.27 07:00
    "MMT 1일물도 6개월짜리 CP에 투자한다"
    그간 비일비재했던 만기 미스매치·파킹거래
    고금리에 가격 하락하자 손실 발생하며 이슈
    업계에선 '뒷돈' 오갔는지가 가장 관심
    • 채권 자전·파킹거래 조사 마친 당국에 숨죽인 증권가...관건은 '뒷돈' 여부 이미지 크게보기

      금융감독원이 채권형 랩 신탁 만기 미스매치 운용 및 장부가 평가 사건에 대한 조사를 마치고 징계 여부와 수위 고민에 들어갔다. 이전까지 '관행'으로 암암리에 묵인돼오던 해당 안건에 대해 금감원이 어떻게 대응할지 증권사들이 숨죽여 지켜보는 가운데, 거래 주체 사이에 '뒷돈'이 오갔을 가능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25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KB증권과 하나증권의 랩·신탁 상품 운용에 대한 현장검사를 마쳤다. 상품이 어떤 방식으로 운용됐는지를 중점으로 살펴본 것으로 파악된다. 금감원은 조만간 현장 검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어 SK증권 현장검사에 나설 방침이다.

      앞서 지난달 KB증권이 하나증권과 랩어카운트·신탁 계정으로 채권을 장부가로 거래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채권 자전·파킹거래 논란'이 일었다. 지난해 금리가 급등하면서 채권가격이 폭락하자 랩어카운트·신탁 계정 수익률이 급전직하한 영향이다. 자사 랩어카운트·신탁을 산 고객에게 투자원금을 보장해주기 위해 방법을  짜내야 했던 것이다.

      주로 대기업이 고객인 랩어카운트·신탁 사업부에서 손실을 숨기고자 채권 매입가인 장부가로 거래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며 논란이 일파만파 커졌다. 단기로 상품을 운용하겠다고 안내한 뒤 장기 채권형 상품에 투자하면서 손실이 더욱 커졌다는 게 중론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MMT 1일 물 자금도 6개월짜리 CP에 넣어서 운용하는 게 다반사다. 미스매치 전략을 쓰지 않으면 환급을 위해 1일짜리 환매조건부채권(Repo), CMA 등 수익률이 낮은 상품에만 투자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만기 때 투자금을 돌려주기 위한 파킹거래는 알음알음하고 있었다"라고 말했다.

      이는 채권시장의 폐쇄성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거래 규모는 컸지만, 채권시장 플레이어는 적기 때문이다. 아울러 장외에서 거래가 이뤄지는 만큼 채권 거래자 간 스킨십과 신뢰가 중요한 것으로 알려진다. 누군가의 뒤(?)를 봐주는 거래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었단 얘기다.

      다만, 이번 거래의 경우 가격이 떨어진 채권을 하나증권이 사준 배경에 대해 의혹이 커지고 있다. KB증권이 자전·파킹 거래로 수익률을 맞춘 대가로 거래 상대방인 하나증권의 담당자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시장에 만연하다. 

      실제로 최근 증권가에선 금감원이 이번 KB·하나증권 조사에서 거래자 간 입출금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계좌를 조회했다는 소문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전례도 있다. 지난 2014년 맥쿼리투자신탁운용(당시 ING투신운용)은 학연 등으로 얽힌 7개 증권사 브로커와 파킹거래 등을 통해 기관투자자 수익률을 조작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맥쿼리투신운용은 4600억원대의 채권 거래를 조작했고 중개인들은 일정 수준의 리베이트를 받았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금감원장의 성향과 최근 금융당국의 분위기를 보면 그냥 넘어갈 것 같지는 않다는 전망이 많다"며 "이 기회에 편법과 불법의 사이에서 애매하게 존재했던 관행에 일정부분 가이드라인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