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다음은 상호금융…치솟는 연체율에 통폐합 가능성 거론
입력 2023.06.28 07:00
    상호금융 연체율 2% 넘어서
    하반기에도 연체율 치솟으면
    부실 단위조합 중심으로 통폐합 가능성
    조합장들 이해관계 조율 관건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제2금융권 연체율이 올라가며 부실화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저축은행에 이어 농협·수협 등 상호금융권 부실 문제도 수면위로 부상하고 있다. 치솟는 연체율에 단위조합간 통폐합이 추진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저축은행과 카드사, 캐피탈, 상호금융업 등 2금융권 주요 회사에 감독 검사 인력을 파견해 연체채권 관리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연체율 관리'를 위한 테마 검사에 들어간 것이다. 

      업계에선 이 같은 상황을 이례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연체율이 가장 빠르게 치솟고 있는 곳은 저축은행이다. 저축은행은 1분기 기준 연체율은 5.1%로 집계 됐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5%를 넘어간 것은 2016년 이후 처음이다. 

      저축은행 부실은 인수합병(M&A)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있다. 상위권이었던 저축은행마저 올해 1분기 적자 늪에 빠지면서 영업이익이 크게 줄었다. 이에 따라 이들의 몸값이 낮아지고 있다. 경제 상황이 나아지면 수도권 저축은행은 경쟁력이 있다는 판단에 이들을 저가 인수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권에선 저축은행 다음으로 상호금융을 지목하고 있다. 농협·수협·산립조합의 연체율은 1분기말 기준 2.42%로 0.9%포인트 올랐다. 수년간 1%대를 기록했던 연체율이 올해 들어 빠르게 뛰어 오르고 있다. 심지어 이 수치는 부동산 PF 부실 우려가 커지는 새마을금고는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지역에 단위조합을 관리하는 중앙회에선 이들의 연체율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상호금융 관계자는 “중앙회 차원에서 ‘위험’ 단계에서 연체율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연체율 상승이 이제 초입이란 점이다. 코로나 대출 등의 만기가 하반기에 몰려 있다는 점에서 상황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저축은행은 M&A를 통해서 새로운 주인을 찾으면 되지만, 상호금융은 조합원들 자금으로 운영된다는 점에서 매각을 통한 부실 정리가 힘들다는 분석이다. 중앙회 차원에서 자금지원이 가능하나 현재 중앙회의 자금 상황도 녹록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상황이 심각해지면 단위조합 간 통폐합이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만 이 과정에서 조합원들의 이해관계가 상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조합장 및 조합원 간의 갈등이 불거질 수 있다. 과거에도 단위조합 통폐합 과정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은 바 있다. 

      한 금융당국 관계자는 “상호금융은 조합원들 자금으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부실화하면 통폐합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상호금융은 지배구조상 부실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제한적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