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수 어려운 PEF, 또다시 높아지는 자본시장 의존도
입력 2024.02.23 07:00
    아직 차가운 시장 분위기, PEF 회수 쉽지 않아
    차환·공개매수 등 시장 자금 활용한 대안 주목
    출자자 배당 당기고 회수까지 시간 버는 효과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올해도 사모펀드(PEF)들의 투자회수 난이도는 낮지 않을 전망이다. 작년 내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기 때문에 올해는 달라져야 한다는 의지를 다지지만 시장의 반등은 더디게 이뤄지고 있다. 당장 손실을 확정할 게 아니라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 리파이낸싱 등 금융 기법을 활용해 시간을 벌거나, 공개매수를 통해 부진한 주가와 연계성을 끊어내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새해에도 M&A 시장은 주춤하다. 흥행이 예상되는 일부 거래 빼면 대부분 매도자와 인수자의 시각차로 진행이 쉽지 않은 모습이다. 개별적으로 잠재 인수자와 접촉해 기회를 살핀 조단위 대형 거래들도 돌파구를 찾기 어렵다. HD현대마린솔루션이나 LG CNS 등 몇몇 대어를 제외하면 IPO 시장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다. 회수보다 투자로 면을 세우려는 분위기도 엿보인다.

      PEF 입장에선 그렇다고 시간에 쫓겨 거래를 할 수는 없다. 당장 회수를 하려면 원하는 가치를 받아내기 어렵기 때문에 시장 환경이 우호적으로 바뀔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회수가 늦어질수록 수익률 목표에 따른 기대 몸값은 올라가겠지만 당장 아쉬운 성적표를 확정하는 것보다는 낫다.

      인수금융 리파이낸싱(차환)이나 리캡(자본재구조화) 등을 활용하는 사례가 다시 늘고 있다. 한창 저금리 기조가 이어질 때는 PEF가 돈을 빌린지 1년 만에 차입처를 바꾸는 사례가 종종 있었다. 그러나 지난 수년간은 시장 금리가 꾸준히 상승하며 돈을 새로 빌릴 실익이 없어졌고, 금융사도 이를 권하기 어려웠다.

      투자 성과가 애매한 포트폴리오는 당장 성과를 기대할 수 없으니 인수금융 만기가 가까워지면 차환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팬데믹 이후 회수에 애를 먹은 한 대형 PEF의 포트폴리오는 여러 차례 차환 논의를 진행했다. 인수금융은 통상 5년 만기로 빌리지만 사업성이 모호하거나 자신이 있을 경우 2~3년의 만기를 설정하기도 한다. 대신 회수에 실패하면 차환 부담이 자주 돌아올 수밖에 없다.

    • 최근 금리 환경이 개선된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전히 저금리 시절보다는 부담이 되지만 두자릿수 금리를 주고도 돈을 빌리기 어려울 때와 비교하면 훨씬 사정이 낫다. 대내외 변수로 금리 변동의 불확실성이 크지만 점진적인 하향을 점치는 의견들이 많다. 금리 하향기가 예상되면 자연히 리파이낸싱 수요도 늘 수밖에 없다.

      마찬가지로 리캡 시도도 점차 늘고 있다. 당장 전체 회수가 어려우니 출자자(LP)에 배당이라도 일부 하겠다는 것이다. 또 다른 대형 PEF는 포트폴리오 기업의 인수금융 리캡을 통해 출자자 배당 재원을 마련했다. 차입 규모를 크게 키우는 대신 금리가 소폭 올랐지만, 당장의 회수 성과를 더 중요하게 봤다. 최근 LP들은 ‘회수 없이 출자 없다’는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몇 년간 이자 비용을 조금씩 나눠 지더라도 할 수 있을 때 큰 돈을 끌어오는 편이 낫다는 것이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예상보다 시장의 분위기가 더디게 개선되면서 PEF의 회수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금융시장을 활용해 회수 성과를 낼 수 있는 리파이낸싱이나 리캡을 검토하려는 움직임이 다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PEF 상장 포트폴리오의 공개매수 역시 회수까지 시간을 벌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공개매수는 이전까지 갈등을 부추긴다는 인상이 강했지만 MBK파트너스, 한앤컴퍼니, IMM PE 등 이름난 PEF들이 공개매수를 적극 활용하면서 중요한 수단으로 부상했다.

      상장 포트폴리오의 경우 산업의 경기 주기나 회사의 현금창출력이 좋더라도 주식 시장의 분위기에 따라 평가 가치가 급등락하는 경우가 있다. 좋은 회사라도 주가가 떨어지면 재무약정 위반에 따라 인수금융 대주단의 상환 압박을 받을 수 있다. 평가손실을 입는 LP들의 시선도 악화할 수 있다.

      그렇다고 상장사를 주가라는 절대적 기준에서 벗어나 팔 수도 없다. 지분을 쪼개 파는 것도 답이 아니기 때문에 아예 주식을 전부 사들여 상장폐지하고 회수까지 시간을 버는 것이 낫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형사들이 공개매수를 주요 먹거리로 인식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자금 조달 고민도 크지 않다.

      공개매수가 PEF 운용사나 LP에 최선의 이익을 위한 선택일 수 있지만 적기에 회수하지 못했다는 인상은 감수해야 한다.

      다른 투자업계 관계자는 “PEF가 공개매수에 성공하는 사례가 늘면서 앞으로도 주요 관리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주가가 낮을 때 공개매수를 실행하는 것은 결국 제 때 회수하지 못한 고육책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