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이 양 사의 주주총회를 통과함에 따라 통합 삼성물산(합병 후 제일모직에서 사명 변경 예정) 출범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통합 삼성물산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최대주주로, 삼성전자 지분을 보유한 사실상 '삼성 지주회사'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합병을 통해 이 부회장은 직·간접적으로 삼성전자에 대한 그룹의 지배력 대부분을 확보하게 됐다. 통합 삼성물산은 기존 삼성물산이 보유 중이던 삼성전자 지분 4.06%를 직접 보유한다. 이를 통해 이 부회장은 그룹의 핵심인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다.
-
이 부회장이 직접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은 0.57%에 불과하다. 이 부회장은 합병 삼성물산의 최대주주(16.40%)로서 삼성생명(전자 지분율 7.21%, 특별계정 제외)과 삼성화재(전자 지분율 1.26%)를 통해 삼성전자에 15%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차후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3.38%까지 승계받는다면, 현재 삼성그룹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율 17.1%가 모두 이 부회장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된다.
지배구조가 좀 더 공고화하는 효과도 있다. 이번 합병 과정에서 드러났듯이 삼성물산에 대한 삼성그룹의 지배력이 14%에 불과하다는 점은 그룹 지배구조의 위험 요인 중 하나였다. 합병 후 합병 삼성물산에 대한 삼성그룹 지분율은 39.93%로 안정적인 경영권 행사가 가능하다. 이 중 이 부회장 등 최대주주 일가의 지분율만 30.18%다.
제일모직의 보험지주회사 전환 위험도 완전히 걷어냈다. 지난 1분기말 기준 제일모직의 총 자산은 8조4000억원으로, 보유 중인 삼성생명보험 주식의 가치(4조5000억원)가 절반을 훌쩍 넘었다.
만약 승계 과정에서 이건희 회장(지분율 20.76%)의 지분이 줄어들어 제일모직(19.34%)이 삼성생명의 최대주주가 된다면 공정거래법에 따라 보험지주회사로 전환돼야 했다. 제일모직이 보험지주회사가 되면 비금융계열사인 삼성전자 지분을 모두 매각해야 한다.
이번 합병으로 통합 삼성물산의 총 자산은 37조원으로 늘어난다. 삼성생명의 주가가 올라 가치가 커져도 통합 삼성물산이 보험지주회사로 전환될 가능성은 거의 사라진다.
통합 삼성물산이 지배구조상 해결해야 할 숙제가 몇 가지 남아있다. 이번 합병으로 두 개의 새로운 순환출자 고리가 생긴다. 삼성전자의 자회사인 삼성SDI(4.73%)와 삼성전기(2.61%)가 보유하게 될 삼성물산 지분을 6개월 내 처분해야 한다.
옛 삼성물산이 보유하고 있던 삼성증권 지분(0.26%)도 이슈다. 제일모직이 새로이 삼성증권의 주주가 되며 자본시장법(제23조1항)에 따라 제일모직이 대주주 변경승인 대상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합병 일정에 일부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순환출자 부분은 공정거래위원회와 협의해 해소방안 및 해소시기를 결정할 예정"이라며 "삼성증권 주식은 합병등기일 이전에 처분하면 대주주 변경 승인절차가 필요없을 수 있다"고 말했다.
[Invest Chosun]
9월1일 출범하면 삼성電 거느린 사실상 그룹 지주회사
이재용 부회장 지배력의 중추…신규 순환출자·삼성證 지분은 정리해야
9월1일 출범하면 삼성電 거느린 사실상 그룹 지주회사
이재용 부회장 지배력의 중추…신규 순환출자·삼성證 지분은 정리해야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5년 07월 20일 08:47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