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종희 사장(사진)이 이끄는 KB손해보험이 본격적으로 출범하면서 업계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제부터 'KB색깔 입히기'에 본격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그러나 보험업계에 대한 경험부족은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
KB손보는 지난 18일 주주총회를 열고 양 사장을 대표이사 사장으로 승인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양 사장은 KB금융지주에서 재무, 인사, IR총괄 부사장을 역임했으며, KB손보(당시 LIG손해보험) 인수를 진두지휘했다.
작년 6월 인수 직후까지만해도 KB는 김병헌 사장을 유임하며 조직 안정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제 양 사장 선임을 필두로 조직 통합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양 사장 외에도 허정수 국민은행 재무담당 본부장(부사장), 조태석 국민은행 WM사업부(상무대우), 신현진 국민은행 리스크담당(상무)가 KB손보로 자리를 옮겼다.
양 사장 내정 이후 KB손보의 연말 조직개편에서부터 변화가 시작됐다는 평가다. 채널 별 신규 조직을 개설하고, KB금융체제 하에서의 업무 프로세스 균형을 갖추기 위해 조직별 기능을 강화했다.
이어 KB손보는 취약점이라 일컬어지는 자동차보험 강화를 위해 ‘다이렉트본부’를 사장 직할 조직으로 신설하고, 장기보험 전략수립 및 기획기능 강화를 위해 ‘장기보험전략본부’를 새로 만들었다. 더불어 사업부문별 기획부서의 지휘 기능을 강화하고 전사적 조직 체계 일원화를 위해 부서별 명칭을 통일하는 등 KB금융그룹 체제와의 일관성 확보에도 나섰다.
이번 인사를 계기로 윤종규 KB금융 회장의 조직 장악력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양 사장은 윤 회장 밑에서 재무부장을 역임하는 등 그룹 내에서 윤 회장과 가까운 인사로 통한다. 그만큼 윤 회장의 의중을 잘 파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인사도 취임 2년차를 맡는 윤 회장의 조직 장악력 강화와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다.
보험업계에서는 양 사장의 역할이 인수후합병(PMI)에 집중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보험업 전문가보다는 다수의 은행출신이 KB손보로 옮긴 점도 이번 인사가 경쟁력 강화보다는 PMI에 맞춰졌다는 해석을 뒷받침한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경쟁사들이 보험 전문가 영입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에서 은행 출신의 경영진이 어떠한 방식으로 경쟁력 강화에 나설지는 지켜볼 일이다”고 말했다.
다만 양 사장이 보험업에 경험이 없다는 것은 회사 안팎에서 약점으로 지목하는 부분이다. 양 사장은 LIG손보 인수를 진두지휘하긴 했지만, 실제 보험사에서 실무를 맡아 본적이 없다.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 도입 및 보험상품규제 완화 등 최근 보험업을 둘러싼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실무 경험이 없는 사장의 선임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없지 않다. '30년 은행맨'을 신임 사장으로 선임한 하나생명 역시 보험업계에서 비슷한 우려를 사고 있다.
KB금융 전략·기획통 양종희 사장 본격 취임
새로운 경영진에 보험업 경험 없는 인사 다수 포진
보험 전문가 중용하는 다른 보험사들과 대비돼
새로운 경영진에 보험업 경험 없는 인사 다수 포진
보험 전문가 중용하는 다른 보험사들과 대비돼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6년 03월 23일 16:49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