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경간 M&A(크로스보더) 거래가 갈수록 늘며 우리나라와 외국 법무법인이 함께 자문을 수행하는 사례도 증가 추세지만 합작사 설립은 요원하다. 3단계 법률시장 개방에도 의결권 제한이나 국내 운영 기간 등 외국계 법무법인이 수용하기 어려운 규제가 여전하기 때문이다.
1조원대 LS오토모티브 사업부 거래에선 미국계 대형 로펌인 심슨 대처 앤 바틀렛(Simpson Thacher Bartlett)이 김앤장법률사무소와 함께 KKR의 인수 자문을 대리했다. 더블유게임즈의 DDI 인수 자문은 김앤장과 미국 대형 로펌 모건 루이스(Morgan Lewis)가 맡았다.
이 외에도 롭스 앤 그레이(Ropes & Gray LLP), 베이커 앤 맥켄지(Baker & Mckenzie), 왁텔 립튼 로젠 앤 카츠(Wachtell, Lipton, Rosen & Katz) 등 쟁쟁한 미국계와 중국 로펌 킹 앤 우드(King & Wood Mallesons) 등도 주요 거래에서 이름을 올렸다.
-
크로스보더 거래의 중요성은 해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기업들은 국내 산업 성장성 둔화를 타개하기 위해 해외를 바라보고, 해외 기업과 사모펀드(PEF)들은 국내 몇 남지 않은 성장 산업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국내 로펌들도 해외 사무소를 내거나 외국변호사를 영입하는 등 크로스보더 자문 역량 키우기에 공을 들이고 있다. 혹은 대형 외국 로펌과 한 편에서 자문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국내 로펌과 해외 대형 로펌이 합작사를 설립하는 형태로 손을 잡는 사례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합작 시 해외 로펌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면서도, 맞상대 하기 껄끄러운 상대편 글로벌 로펌과의 협상을 맡기는 등 장점이 기대되지만 규제가 까다로워서다. 자연스레 글로벌 대형 거래에서 국내 로펌의 이름이 빠지거나 제한된 역할만 담당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미 지난해 초 외국법자문사법 개정안 통과로 '명문상' 국내 로펌과 외국 로펌간 합작사 설립이 가능해졌다. 한·미,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3단계 법률시장 개방 이행 조치다. 합작 로펌은 국내 변호사와 외국법 자문사를 고용해 국내외 법률사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외국법자문사법에 따르면 외국 합작참여자는 합작 로펌 지분 49%를 초과해 보유할 수 없다. 복수의 외국 참여자가 있더라도 합산 지분이 이를 넘어서는 안 된다. 외국계 로펌들이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길이 막혀있는 셈이다. 향후 관계를 정리하고 싶더라도 모든 합작 참여자의 동의가 없으면 지분을 양도할 수 없다.
의결권 제한 규정은 국내 로펌이 외국 로펌의 하수인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대형 로펌의 기득권만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최근엔 위 규정이 위헌이라며 헌법소원을 제기하는 사례도 있었다.
외국법자문사법은 합작에 참여하는 국내외 로펌 모두 국내서 3년 이상 운영되고, 5년 이상 경력을 갖춘 변호사를 5명 이상 보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역시 현실적으로 충족하기 쉽지 않다는 지적이다.
국내 대형 로펌 관계자는 “외국 로펌이 국내서 합작사를 설립하기 위해선 국내 사무를 하지 않은 상태로 3년을 운영해야 하는데 이 기간을 채우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 대형 로펌 출신 변호사가 특별한 자문 수임도 어려운 곳에서 3년을 근무하려 할 리 만무하고, 중소형 출신 로펌 변호사는 외국계 로펌이 그다지 선호하지 않아 인력을 채용하기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7년 09월 27일 09:00 게재]
크로스보더 거래 늘면서 글로벌 로펌 자문사례도 늘어
법률개방 3단계 돌입하며 합작 사례 기대됐으나 전무
외국 로펌 의결권 제한…국내 영업·인력 영입 규제도 부담
법률개방 3단계 돌입하며 합작 사례 기대됐으나 전무
외국 로펌 의결권 제한…국내 영업·인력 영입 규제도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