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면세점이 인천국제공항 사업권을 반납하며 면세업계에 또 한번 대규모 지각변동을 예고했다. 대규모 매출 손실분을 만회하기 위해 기존 안방인 서울 시내 면세사업 강화 전략을 꺼내게 될 것으로 보인다.
시내는 수년간 사업자가 급격히 늘었고 신라와 신세계 등이 추격의 고삐를 죄는 상황이라 점유율 확보 경쟁이 더 치열하게 벌어질 전망이다.
롯데면세점은 지난 13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면세점 사업권 4개 중 주류·담배 사업권(DF3)을 제외한 3개(DF1·DF5·DF8)를 반납하겠다는 뜻을 인천공항공사에 전달했다. 공사가 2터미널 개항을 감안해 1터미널 면세점 임대료를 27.9% 인하하기로 했지만, 위약금 3000억원을 무는 편이 유리하다고 판단했다. 롯데는 5년 임대료 중 75%를 3~5년차(2017년 9월~2020년 8월)에 지불하기로 했다.
-
롯데는 당장의 손실은 피하게 됐지만 매출 손실은 불가피하다. 인천공항점은 작년 국내 면세점포 전체에서 네 번째로 많은 매출 1조1210억원을 기록했다. 사업권 반납 후 다시 도전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순 없다는 의견도 있으나 현실성은 낮다.
경쟁 면세점 관계자는 “롯데 인천 면세점은 수익성은 낮지만 1위 사업자로서의 덩치와 지위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는 면에선 의미가 있었다”며 “매출 손실분을 메우기 위해 다른 지역을 키우려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결국 롯데가 앞으로 가장 심혈을 기울일 지역으로는 서울 시내가 꼽힌다.
롯데는 명동본점의 우월한 입지에 힘입어 수십년 간 서울의 터줏대감 역할을 했지만 최근엔 위상이 예년만 못하다. 서울은 2015~2017년에만 7곳이 신규 특허를 얻으며 경쟁이 심화했고, 롯데의 점유율도 야금야금 내려갔다. 롯데 입장에선 얼굴과도 같은 명동본점에 더욱 힘을 실어 경쟁자들과 압도적인 격차를 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면세점 사업과 관련해 묵시적 부정 청탁을 한 혐의로 13일 1심서 유죄 판결을 받고 법정구속 됐다. 관세청은 판결 후 ‘위법 내용과 정도를 확인하고 충분한 법리검토를 거쳐 특허취소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롯데가 월드타워점까지 내놓아야 한다면 본점의 중요성은 더 커진다. 그룹 지배구조 개선의 마지막 퍼즐인 호텔롯데 IPO의 핵심도 결국 면세사업이다.
-
롯데가 서울 시내에서 총력전을 편다면 다른 경쟁사업자들에 미칠 부담과 파급효과는 더욱 클 전망이다. 롯데가 반납한 점유율을 챙겨가던 신라와 신세계 정도를 제외하면 대응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신라는 2015년 현대산업개발과 손잡고 용산에 점포를 열었고, 신세계는 2016년 센트럴시티 사업권을 따내 올해 개장을 앞두고 있다. 두 그룹도 인천공항 철수를 검토 중인데, 철수하게 된다면 롯데와 마찬가지로 서울에서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상대적으로 점유율이 낮은 현대백화점의 고민이 클 전망이다.
황금알을 낳아줄 것으로 기대하고 뛰어든 한화와 두산 같은 후발주자들은 기존 강자들 틈에서 기를 펴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면세업은 허가 사업이긴 하지만 그 후의 성과는 각 기업의 역량과 구매력에서 갈린다. 작년 두 그룹 면세점은 적자를 본데다, 면세점 특허 획득 과정에서 특혜를 봤다는 감사원 감사 결과도 있었다. 한화는 사업 부진으로 제주 면세점을 닫기로 했다.
롯데, 인천공항 철수에 롯데타워도 면허 취소 위기
점유율 내주던 서울 강화 필수…본점 총력전 펼칠 듯
신라·신세계도 인천 철수 검토…한화·두산 입지 더 축소
점유율 내주던 서울 강화 필수…본점 총력전 펼칠 듯
신라·신세계도 인천 철수 검토…한화·두산 입지 더 축소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8년 02월 26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