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그룹에 계열사 지분 정리 과제가 쌓이고 있다. 일감 몰아주기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CJ올리브네트웍스 외에도 CJ파워캐스트, CJ푸드빌, 에스지생활안전 등이 대상으로 지목됐다.
일감 몰아주기 규제 강화가 현실화하면서 재계는 적극 대응에 나섰고 이와 관련해 인수합병(M&A)도 이어지고 있다. CJ는 공정거래법 개정안이 입법예고된 이후에 뚜렷한 '액션'이 없는 상황이다.
CJ도 연초에는 이에 대응한 바 있다. 손경식 회장이 지난 3월 CJ그룹 임원 차량을 공급하는 계열사인 조이렌트카 지분 100%를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한앤컴퍼니에 매각했다. 조이렌트카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외삼촌인 손 회장 일가가 소유한 회사로 일감 몰아주기 규제 대상에 포함된 상황이었다.
반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칼을 겨누고 있는 CJ올리브네트웍스 지분 정리에 대해선 신중한 분위기다.
CJ가 선택할 수 있는 대응 중 하나는 CJ올리브네트웍스의 기업공개(IPO)다. 신주 모집과 구주 매출을 병행해 총수 일가 지분율을 낮출 수 있다. 연초만 해도 CJ올리브네트웍스의 IPO가 점쳐졌다. 하지만 실적과 시장이 모두 뒤를 받쳐주지 못해 지금은 흐지부지된 상태다.
총수 일가 입장에선 증여세도 염두에 둬야 한다. 관련 법안에 따르면 지분을 증여받은 후 5년 기한 내에 상장해서 주가가 오르면 증여세도 그 만큼 늘어난다. 이선호 CJ제일제당 부장은 2015년 12월 이 회장으로부터 CJ올리브네트웍스 지분을 증여받았다. 따라서 2020년까진 CJ올리브네트웍스의 IPO가 조심스러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른 방안은 한화S&C 사례처럼 CJ올리브네트웍스를 물적분할한 후 총수 일가의 지분이 없는 계열사에 붙이거나 외부에 지분을 매각하는 것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CJ그룹 입장에서는 후자보단 전자를 선호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법이 개정되면 CJ올리브네트웍스 아래에 있는 CJ파워캐스트도 문제다. 총수 일가가 지분 20% 이상을 직접 보유한 회사는 물론 해당 회사가 지분을 50% 이상 보유해 총수 일가가 간접 보유한 계열사 등에 대해서도 규제가 확대된다.
CJ올리브네트웍스는 2016년 9월 이 회장 동생인 이재환 대표가 최대주주로 있던 자회사 CJ파워캐스트를 합병해 몸집을 키웠다. CJ파워캐스트는 CJ올리브네트웍스가 지분 100%를 보유한 자회사라 총수 일가가 간접 보유한 계열사에 해당돼 정리가 불가피하다. 그 밖에 CJ가 96.02%의 지분을 보유한 CJ푸드빌과 총수 일가가 지분 100%를 보유한 에스지생활안전도 마찬가지다.
CJ그룹 측은 총수 일가가 보유한 지분을 매각하는 것에 대해선 법안 개정이 확정되기 전이라 아직 구체적으로 검토된 게 없다는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이에 빠른 시일 내에 선제적 대응에 나설지 미지수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유상증자 유치 등을 통해 총수 일가 보유 지분율을 50% 아래로 낮추는 방식으로 규제 이슈를 비켜 나가는 것도 하나의 방안일 것"이라며 "하지만 CJ그룹 주가가 전반적으로 빠져 있는 상황에서 유상증자는 현실적으로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이렌트카 매각으로 선제적 대응 나섰던 CJ
CJ올리브네트웍스 놓고는 눈치만
법 개정되면 CJ파워캐스트도 지분 정리도 불가피
CJ푸드빌·에스지생활안전 등 규제 대상 확대
CJ올리브네트웍스 놓고는 눈치만
법 개정되면 CJ파워캐스트도 지분 정리도 불가피
CJ푸드빌·에스지생활안전 등 규제 대상 확대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8년 10월 08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