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교적 낮은 공모가를 책정한 에어부산이 상장을 통해 내년 변경되는 회계기준(IFRS 16)에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13일 에어부산은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이번달 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어부산은 최근의 IPO 시장 침체에 대비해 최대한 보수적인 밸류에이션을 적용했다.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 비교기업의 주가순이익비율(PER)을 고려한 평균 PER은 8.6배로 책정됐다. 2018년 예상 PER은 5.0~5.5배로 제주항공(8.8배), 진에어(7.5배) 등 비교기업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최종 공모 희망가밴드는 31.5~38.3%의 할인율을 적용해 3,600~4,000원으로 결정했다. 에어부산의 최근 3년(2015~2017년)간 총이익률은 평균 15%다. 동종업계와 비교하면 높은 편이라 낮은 가격 책정이라는 평이 나온다.
에어부산측은 이번 상장은 자금 조달보다는 회계기준 대비를 위한 부채비율 관리 및 영업·마케팅 효과의 목적이 크다는 입장이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공모가 밴드가 낮은 편인 점을 인지하고 있지만, 공모 규모가 약 200억 정도로 현재 당사 누적현금이 약 1100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공모는 자금유입이 주요 목적은 아니다”라며 “제주항공이나 티웨이 등 경쟁사들이 이미 상장한 상황에서 에어부산도 상장을 통해 영업·마케팅 효과를 얻고자 한다”고 밝혔다.
상장에 서두르는 이유로 ‘K-IFRS 16 리스 기준서 개정’도 언급됐다. 내년 1월부터 새 회계 기준이 도입되면 항공기 임대료가 재무제표상 비용이 아닌 부채로 잡혀 부채비율이 올라간다.
에어부산은 상장으로 유입되는 자금으로 부채비율을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상장으로 추가 유입될 자본금을 반영한 에어부산의 2019년 예상 부채비율을은 233.06%다. 변경된 회계기준을 미리 적용한 올해 말 에어부산의 부채비율은 255.40%다.
유입되는 자금은 항공기 구입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에어부산은 향후 영업이익과 상장 공모로 유입되는 자금을 활용해 항공기를 추가 구매할 수 있게 되면서 장기적으로 비용을 줄여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상장 이후 수익 제고 요인으로는 유료화서비스를 꼽았다. 에어부산은 현재 타 경쟁사들은 유료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프리미엄 LCC(저비용항공사)’ 브랜드를 내세웠다.
한태근 에어부산 대표이사는 "소비자들이 받을 타격에 대비해 전체 매출 내 부대수입 비중을 내년에는 6.6%, 장기적으로 8% 정도로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현재 에어부산의 부대수입 비중은 전체 매출에서 5.5% 정도다.
에어부산은 12월 13~14일 양일간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공모가를 확정한 후 18일 ~19일 청약을 받는다. 공동 대표 주관사는 NH투자증권과 미래에셋대우, 공동주관사는 BNK투자증권이다.
최종 공모 희망가밴드 3,600~4,000원...12월 말 상장 예정
상장은 "자금 조달보다는 영업 마케팅 효과 목적"
내년 바뀌는 회계기준도 상장 서두르는 이유
상장은 "자금 조달보다는 영업 마케팅 효과 목적"
내년 바뀌는 회계기준도 상장 서두르는 이유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8년 12월 13일 16:5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