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간 벤더사업(구매대행)에 의존했던 코리아세븐이 올해부터 직접 발주에 나서는 등 내부거래 의존도를 낮추고 ‘홀로서기’에 나서면서 재무 부담 가중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주 52시간 근무제, 최저임금 인사 여파로 영업환경이 위축되는 상황에서 미니스톱 인수합병(M&A)까지 성사될 경우 올해 비용 지출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기업공개(IPO) 물망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지만 이것만으론 역부족이라는 지적이다.
코리아세븐은 매입원가가 매출원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2017년 연결기준으로 매출원가 3조697억여원 중 매입거래 규모만 2조3915억여원에 달했다. 이전에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다. 2016년 연결기준 매출원가 2조9582억여원 중 매입거래 규모가 2조3343억여원을 차지했다.
특히 여타 경쟁사와 달리 매입원가 대부분은 계열사와의 내부거래에서 발생했다. 계열사 중에서도 롯데로지스틱스는 코리아세븐의 물류배송뿐만 아니라 상품발주과 재고관리 등을 담당해, 계열사와의 전체 매입거래 규모(2조5671억여원) 중 롯데로지스틱스가 차지하는 비중만 93%가 넘는다. 즉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상품 대부분을 롯데로지스틱스로부터 공급받았으며, 그만큼 벤더사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음을 의미한다.
코리아세븐은 내부거래 의존도가 높았던 만큼 그간 인건비와 간접비용을 아낄 수 있었다. 코리아세븐은 편의점 ‘빅3’ 가운데 영업이익률은 가장 낮은 반면 매출총이익률은 20% 수준으로 가장 높다. BGF리테일과 GS리테일은 20%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벤더사업을 통한 매출원가 절감을 방증하는 셈이다.
하지만 지난해말 롯데로지스틱스의 벤더사업이 종료되면서 올해부턴 상황이 바뀌게 됐다. 벤더사업 종료 후 코리아세븐이 직접 발주 및 재고관리에 나선 상황이라 향후 비용 부담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일감몰아주기 해소를 고려한 선택이지만 코리아세븐과 경쟁사들의 발주 및 재고관리 역량에서 차이가 날 수 있단 지적이다. BGF리테일과 GS리테일 등은 코리아세븐과 달리 기존에도 배송만 2자물류로 맡기고 발주 및 재고관리는 자체적으로 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편의점 업황이 더 어려워지는 것도 부담이다. 코리아세븐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최근 2년새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다. 2016년 연결기준으로 1035억여원이었던 반면 2017년에는 538억여원으로 반 토막 났다. 편의점으로 돈을 벌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의 수익성은 유통업계에서도 낮은 편에 속한다”며 “유통업계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3~5%라면 편의점 3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대로 훨씬 밑도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영업이익률이 낮은 상황에서 미니스톱 인수는 코리아세븐은 물론이고 롯데지주의 재무 여력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단 지적이다. 또 인수 이후 꾸준히 지출될 인건비와 교육비, 광고홍보비 등의 고정비가 코리아세븐의 영업이익을 상회할 여지도 있는 상황이다.
코리아세븐의 연결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2017년 초 1417억여원에서 그해 연말엔 688억여원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 차입금 상환으로 인한 유동성 급감으로 풀이된다. 이런 상황에서 미니스톱 인수에 따른 지출 비용 증가는 결국 롯데지주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
롯데그룹 내 차기 IPO 후보로 꾸준히 거론되고 있지만 지주가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지 않아 IPO가 코리아세븐과 롯데지주의 부담을 줄여주는 데 제한적일 수 있다는 해석도 있다. 롯데지주는 코리아세븐의 지분을 79.66% 보유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코리아세븐이 미니스톱 인수에 성공할 경우 단숨에 매장이 CU와 GS25에 근접한 1만2000여개로 불어나 ‘업계 빅3’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영업이익률 하락으로 벌어들이는 현금은 계속 줄고 있고, 부채 상환에 보유한 현금을 쓰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 추가 부담 요인이 확대된 점은 재무 여력에 확실히 마이너스 요소”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부정적 정책 이슈 및 어려워지는 업황 속 재무 부담 늘어
올해부터 발주 시스템 변경되면서 매출원가 증가 예상
미니스톱 인수도 부담…인건비·광고홍보비 등 무시 못 해
올해부터 발주 시스템 변경되면서 매출원가 증가 예상
미니스톱 인수도 부담…인건비·광고홍보비 등 무시 못 해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9년 01월 13일 09: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