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그룹의 대대적인 임원진 물갈이를 지켜보는 티몬의 속내가 복잡하다. 사업 협업, 기업매각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롯데지주 전략라인과 긴밀한 관계를 맺어왔지만 이들 대부분 이번 인사에서 자리를 잃었다. M&A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기 어려워지면서 현재로선 새로운 사업 고민 등 '홀로서기'에 주력할 수밖에 없게 됐다.
롯데그룹 임원인사 여파가 이어지고 있다. 주력 임원진들이 대거 용퇴한데다 '신동빈 오른팔'로 그룹 2인자였던 황각규 롯데지주 부회장마저 물러나 파급이 컸다. 8월초 인사 내용을 각 임원들에게 통보해 조직 구성을 새롭게 마쳤고 현재 쇄신 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눈에 띄는 인사 변동은 경영혁신실로 개편한 경영전략실이다. 지주 경영전략실은 경영 컨설팅과 경영전략 수립, M&A 업무까지 진행해왔던 곳이다. 산하 경영전략 1~3팀이 각각 식품·유통·화학 BU를 맡아 지휘해 왔지만 이번 인사에서 각 팀장들은 모두 롯데렌탈, 롯데케미칼 등 계열사로 자리를 옮겼다.
이 전략라인 인사 변동이 티몬에도 영향을 끼쳤다.
티몬은 최근까지 롯데 경영전략실과 사업 협업 등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논의를 지속해왔다. 매개는 올 상반기 유통계열사 7곳의 온·오프라인 데이터를 통합한 ‘롯데온(ON)’이었다.
롯데ON 플랫폼에서의 시너지를 염두에 두고 있었지만 카운터파트너들이 대거 자리를 잃으며 진행해왔던 논의도 공중분해됐다는 후문이다. 그중 한 핵심 인물은 현재 한 계열사에서 '기업가치개선' 업무를 새로 부여 받았다. 한 관계자는 "없는 자리나 마찬가지라 사실상 나가란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라고 전했다.
티몬으로선 롯데와의 연결고리가 끊긴 점이 아쉬울 수 있다. 내부 고위 관계자는 "상장 이후 구주 매각도, 유력한 원매자일 수밖에 없는 롯데의 집안싸움에 논의조차 어려워진 상황이 됐다"라는 입장을 내놨다.
롯데그룹의 티몬 인수설은 양측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불씨가 꺼질 듯 꺼지지 않는 M&A시장 내 단골 소재다. 티몬 대주주인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와 앵커에쿼티파트너스가 투자금 회수에 나설 상황에서 이커머스 인수의 필요성과 자금력을 모두 갖춘 적격자는 사실상 롯데뿐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이에 적정한 시기 다시 M&A 논의가 재점화할 거란 티몬 측 기대감도 있었다.
인수설이 제기될 당시 롯데그룹은 자체 플랫폼인 롯데ON 강화에 집중하기로 기조를 정했다는 입장을 내놨던 바 있다. 티몬도 IPO 등 대안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 양측 모두 M&A를 강하게 부인했지만 롯데지주가 M&A를 전담하면서 실제 협상까지 일부 교감은 있었다. 지주 산하 경영전략실 주도로 티몬과의 여러 논의도 급물살을 탔던 것으로 전해진다.
양사 간 연결고리였던 롯데ON이 롯데그룹의 뼈아픈 실적 부진의 주요한 원인이 되면서 사정이 달라졌다. 롯데쇼핑은 올 상반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 98.5%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했다. 성과가 신통치 않은 롯데ON을 두고 유통업계 내에선 '뭉치면 죽고 흩어지면 사는 신기한 회사'라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M&A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기 어려워진 티몬은 현재로선 새로운 사업 고민 등 '홀로서기'에 주력할 수밖에 없게 됐다. 티몬 내부에서도 쿠팡과 네이버 등 몸집이 큰 선두주자를 따라잡기는 어렵다는 판단에 새로운 니치마켓을 노릴 수 있는 사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롯데그룹, 8월 이례적인 임원변동
티몬과 협업한 유통 전략라인도 자리 잃어
연결고리였던 롯데ON 실적부진 뼈아파
티몬과 협업한 유통 전략라인도 자리 잃어
연결고리였던 롯데ON 실적부진 뼈아파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0년 08월 24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