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국내 기업의 전반적인 신용도 부담이 계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코로나 여파 속에서도 일부 기업 및 산업은 견조한 모습을 보인 점은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15일 S&P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용평가’ 세미나에서 올해 코로나 여파로 국내 기업의 등급 하향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전했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현대자동차, 이마트 등 대기업 주요 계열사의 등급 전망 혹은 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2018년 말부터 S&P가 평가하는 국내 기업들의 부정적인 등급 변경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약 32%의 국내 기업이 부정적 등급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박준홍 S&P 한국기업 신용평가 이사는 “올해 한국기업들에 대한 부정적인 등급 액션이 확연히 많았지만, 대부분의 부정적인 신용도 방향은 올해 2~4월에 집중됐고 6월 이후에는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우호적인 반도체 업황, 전자 및 자동차 업체의 경쟁력, 전기차 시장의 성장 등을 고려하면 국내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잘 대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반기 코로나 여파로 국내 200대 기업의 실적 및 재무 부담이 높아졌다. 특히 정유, 철강, 유통, 자동차 산업이 큰 폭의 영업이익 감소를 보였다. 또 리스 회계기준 변경으로 2019년 국내 200대 기업의 총차입금이 증가했다. 2019년 EBITDA 대비 차입금 비율은 전년 대비 현저히 약화했다.
S&P는 국내 기업이 직면한 주요 신용위험 요인으로 주주환원 증가 등 공격적 재무정책을 꼽았다. 잉여현금흐름 감소에도 불구하고 높은 배당 수준이 유지되면서 차입금 증가를 초래했다. SK E&S는 지난해부터 큰 폭으로 증가한 배당을 반영해 최근 등급이 하향 조정됐다.
S&P는 신용위험이 가장 큰 산업으로 정유, 철강, 유통을 언급했다. 국내 정유사들은 상반기 유가 급락으로 인한 재고 손실 및 수요 감소로 큰 폭의 적자를 기록했다. 부진한 수요, 낮은 정제마진을 고려할 때 실적 전망이 불투명하다는 관측이다. 자동차·조선 수요 둔화로 철강 수요 약세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철광석 가격 상승으로 철강사들이 추가 수익성 압박에 직면했다는 평이다.
유통업은 2019년 이후 소비 위축이 지속되고 있는 점이 위협이다. 또 온라인 쇼핑으로의 패턴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대형마트와 백화점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판단이다.
다만 견조한 국내 수요와 우호적인 반도체 업황 등이 국내 기업 신용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S&P는 평가하는 대부분의 국내 기업들이 적절한 수준의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채권발행 금리 하락, 국내 자본시장의 풍부한 유동성을 고려하면 대부분 기업들의 차환용 자금조달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이란 예상이다.
국내은행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준수한 자산건전성을 보여주고 있고, 외화자금 조달과 유동성에도 큰 문제는 없다는 평가다.
코로나 확산 이후 총 88개국의 은행산업 국가리스크 평가(BICRA) 중 42개가 부정적으로 조정됐다고 밝혔다. 3월부터 9월까지 총 234개 은행과 101개 비은행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이 부정적으로 조정됐다. 한국의 경우 BICRA 추이는 안정적이었고 국내은행 중 등급조정된 경우는 없었다. 2곳의 비은행 금융기관 등급만 부정적으로 조정됐다.
S&P 아태지역 금융기관 신용평가팀의 정홍택 상무는 국내 은행들이 상대적으로 준수한 자산건전성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수익성 저하와 자본적정성 약화는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고, 외화자금조달과 유동성은 큰 문제가 없다고 봤다.
국내 은행의 자산건전성 추이를 살펴보면 대출 만기 연장 또는 이자상황 유예에 대한 익스포저가 총 대출의 3%로 다른 국가들의 은행에 비해 비교적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본력 역시 적정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외화자금 조달 구조도 개선됐다고 평가 받았다. 국내 은행의 단기외채비율은 2008년 3분기 73%에서 2020년 2분기 약 50%로 하락했다. 외환보유고는 2019년 기준 은행권 단기외채의 4배 규모다.
경기회복 추이와 경제 불균형 확대, 높은 가계부채 같은 거시적 문제들과 더불어 해외사업 확대, 사회적 리스크, 핀테크 등은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등급하향 추세, 강도 줄어도 여전
정유·철강·유통업 신용도 부담 커
반도체·통신사·전자·자동차 '선방'
코로나에도 국내은행은 비교적 안정적
자산건전성 준수 평가…유동성도 큰 문제 없어
정유·철강·유통업 신용도 부담 커
반도체·통신사·전자·자동차 '선방'
코로나에도 국내은행은 비교적 안정적
자산건전성 준수 평가…유동성도 큰 문제 없어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0년 10월 15일 11:23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