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재고 비축한 현대차그룹, 2분기까진 관세 충격 비껴가
입력 25.04.25 15:58
기아·모비스, 영업익 컨센서스 하회…인센티브 증가·고정비 부담 영향
현대차그룹, 관세 실적 반영은 유보…“25% 관세 장기화 가능성 낮게 본다”
완성차 3개월·부품사 최대 5개월 재고 확보…2분기까지 실적 방어 기대감
  • 현대차그룹이 미국발 관세 리스크에 선제 대응하며 2분기까지는 실적 충격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룹 전반은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을 통해 현재로서는 관세 영향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현대차와 기아는 관세 리스크로 인해 선구매 수요가 몰리면서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조6336억원으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9.2% 증가한 44조4078억원을 달성했다. 기아는 연결 기준 매출 28조175억원, 영업이익은 3조8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6.9%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2.2% 감소했다. 현대모비스는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4조75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776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1% 늘었다. 

    기아와 현대모비스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기아는 인센티브 증가와 기저효과 등으로 영업익이 감소했으며, 현대모비스는 미국 신공장 가동에 따른 비용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현대차그룹은 계열사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전반적으로 비슷한 톤을 유지했다. 현재로서는 관세 등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거되지 않은 상황이기에 추후에 소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증권가는 현대차그룹이 미국 현지에 재고를 선적해 둔 덕에 당분간은 관세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것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완성차는 약 3개월치, 부품사는 최대 4~5개월치 재고를 비축한 것으로 알려졌다. 

    증권사 자동차업 연구원은 "현대, 기아는 미리 쌓아둔 재고 덕에 2분기까지도 실적은 괜찮을 것으로 보인다"며 "모비스는 평소 4개월치 정도의 재고를 쌓아두는데, 그것보다 더 많이 쌓으려 노력했다 들었다. 부품사들은 완성차 대비 더 많은 재고를 쌓아 관세를 버틸 여력은 더 있는 셈"이라고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관세 리스크를 실적에 선제적으로 반영하지 않는 모습이다. 폭스바겐 등 일부 자동차 업체들은 회계상 관세에 대한 리스크를 실적에 미리 반영하고 있다. 그룹 내부적으로는 25% 고율관세가 장기화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기아는 지난 9일 열린 인베스터데이에서 관세 조정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자동차 업종에 대한 25% 관세가 끝까지 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적극 대응을 위한 전략을 짜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25일 열린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의 ‘피치 온 코리아 2025 미디어 브리핑'에서도 구자용 현대차 최고 IR담당자(CIRO) 부사장은 "미국에서 3개월 정도의 재고보유하고 있다"며 "가격 인상은 안 한다고 얘기한 바 있다. 상황이 계속 바뀌어서 불확실성 있지만 여러 대응책들 수립 중에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