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흑자전환과 석유화학부문의 적자폭 감소 등에 힘입어 한 분기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회사는 미중 관세 분쟁 등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지만 미국의 현지 영업 역량을 극대화하고, 고성장·고수익 사업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30일 LG화학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12조1710억원, 영업이익 4470억원으로 잠정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8%, 영업이익은 68.9% 상승한 수치다. 지난해 4분기 252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던 LG화학은 한 분기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사업부문별로 살펴보면,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 4조7815억원, 영업손실 565억원을 기록했다. 대산공장 정전에 따른 가동 중지와 국내 전력 단가 상승 등의 수익성 악화 요인이 있었지만 비용 절감 노력과 환율 강세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적자폭은 축소됐다는 설명이다.
첨단소재부문은 매출 1조4898억원, 영업이익 127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자소재와 엔지니어링 소재의 고부가 제품 매출 증가에 힘입어 견조한 매출을 달성하고 수익성이 회복됐다.
이날 진행된 컨퍼런스콜에서 LG화학은 미중 관세 분쟁으로 인해 중국 역외 수출 감소와 중국 내수 부진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유럽이나 동남아에서의 경쟁이 심화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수입관세가 높아지며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나 수요 둔화의 우려도 상존한다. LG화학은 미국의 현지 영업 역량을 극대화해 경쟁사의 물량을 확보하는 한편, 수입 비중이 높은 제품은 판가 인상 등 다양한 대응전략을 추진 중이라는 입장이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발표한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해서는 "대기업은 수혜 범위가 크지 않다"면서 "세제혜택 대상이나 규모 확대 등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정부가 컨설팅을 실시했으므로 상반기 중 후속대책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의 관세 부과 등 전방산업의 보수적인 재고 운영이 예상되는 첨단소재 부문의 경우, 2분기에는 전분기와 비교해 물량 수주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회사는 미국의 테네시공장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LG화학 관계자는 "테네시공장의 가동시점을 앞당기는 것을 검토 중이며 내부적으로 현지생산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고 말했다.
또, LG에너지솔루션 이외의 외판비중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토요타 북미 배터리 법인향 출하를 시작으로 2028년까지 30%의 외판 비중 달성을 위해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신규 수주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연초 2조8000억원의 가이던스를 제시했던 캐팩스(CAPEX)는 투자의 우선순위를 정해 감축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기존에 예정된 투자가 대부분 신성장 동력 사업 관련이거나 진행 중인 투자 건이기 때문에 연초 전망보다 크게 감축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워터솔루션 사업부 매각에 대해서는 "아직 확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LG화학 관계자는 "중장기적으로 성장이 정체됐거나 경쟁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은 사업, 당사 사업과 시너지가 부족한 영역 등은 포트폴리오 재정리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면서 "포트폴리오 인앤아웃은 더 활발하게 진행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1분기 매출 12조1710억원, 영업이익 4470억원
석유화학 부문 매출 4조7815억원, 영업손실 565억원
"상반기 중 정부 석유화학 후속 대책 발표 기대"
첨단소재부문, 2분기 수주 물량 감소 불가피
석유화학 부문 매출 4조7815억원, 영업손실 565억원
"상반기 중 정부 석유화학 후속 대책 발표 기대"
첨단소재부문, 2분기 수주 물량 감소 불가피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04월 30일 17:35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