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지주 자회사인 우리자산신탁이 충당금 모델 개발 막바지에 다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감독원이 우리금융지주 정기검사에서 책임준공형 사업에 대한 위험가중치나 충당금을 과소하게 반영해 자본비율 등에 적절히 반영되지 못했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자산신탁은 지난 2월 금감원의 우리금융지주 정기검사 발표 이후 신탁사 책임준공형 토지신탁에 대한 충당금 및 위험가중치 산출 방법론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외부 회계법인에 용역을 맡긴 상태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상태다.
앞서 금감원은 지난 2월 우리금융 정기검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자회사인 신탁사의 책임준공형 토지신탁 관련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책준형 사업장에서 지속적인 손실이 발생하고 있는데도 자본비율 산출 시 관련 위험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우리자산신탁이 책준형 토지신탁 익스포저 중 충당금이나 위험가중자산에 미사용금액을 반영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통상 계약 시점부터 손해배상 예상 금액을 익스포저로 반영해야 하지만 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으면서 위기대응능력인 자본비율이 과대평가됐다는 것이다.
우리자산신탁은 올해 상반기 준공 완료가 예상되는 사업장이 대다수로, 미사용 한도에 대한 충당금이나 RWA 등이 예측 가능한 만큼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고 밝혔다. 반면 금감원은 세칙에 관련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는 점을 근거로 리스크 관리에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금감원은 우리금융 정기검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견하고 올초 우리자산신탁을 비롯한 지주계열 신탁사에도 충당금과 RWA에 책준형 신탁 관련 익스포저를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내렸다.
우리금융은 이후 외부 회계법인에 우리자산신탁 충당금 및 RWA 산출 방법론 개발 관련 용역을 요청해 관련 모델을 산출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위원회가 우리금융의 동양·ABL생명 편입 관련 조건부 승인을 검토하자 뒤늦게 금감원 지적사항에 대한 조치에 나서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부동산 시장이 침체돼 있는 상황인 만큼 관련 모형을 적용할 경우 충당금이 큰 폭으로 늘어날 수 있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우리자산신탁이 지난해 대손준비금 반영 기준으로는 적자로 돌아섰다"라며 "신한과 KB에 비해서는 적자 규모가 크지 않아 손실 인식을 덜 하거나 늦게 했을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우리자산신탁에서는 올해 상반기 준공이 완료되는 사업장이 대다수인 만큼 미사용 한도와 관련한 리스크가 상당부분 소멸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이 경우 준공이 완료될 때까지 미루면서 공사 중인 책준 사업장에 대한 익스포저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구체적인 준공 여부 등을 확인해야겠지만, 문제가 됐던 책준형 사업장 준공이 어느 정도 마무리됐다고 하면 관련 모델 구축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자산신탁측은 "미사용한도에 대한 충당금 설정 등을 논의하긴 했지만, 현재 책준 사업장 준공이 대부분 완료됐기 때문에 관련 리스크가 상당부분 해소된 상태"라고 밝혔다.
금감원, 책준신탁 미사용한도 리스크 과소 반영 지적
보험사 인수 '조건부 승인' 앞두고 충당금 컨설팅 속도
수정 모형 반영 시 올해 충당금 증가 가능성도
준공 때까지 미루다가 뒤늦게 컨설팅 나선단 지적도
보험사 인수 '조건부 승인' 앞두고 충당금 컨설팅 속도
수정 모형 반영 시 올해 충당금 증가 가능성도
준공 때까지 미루다가 뒤늦게 컨설팅 나선단 지적도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05월 14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