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시네마를 운영하는 롯데컬처웍스가 만기 1년 이하 기업어음(CP) 발행을 늘리며 현금흐름 방어를 이어가고 있다. 메가박스중앙과의 합병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조달 여건이 악화됐다는 평가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롯데컬처웍스가 올해 찍은 CP의 총 규모는 24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한 해 연간 기준 CP 발행량이 400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했을 때 반년 새 6배나 발행 규모가 늘었다.
특히 이달 들어서만 ▲6월 13일 900억원 ▲6월 20일 400억원 ▲6월 23일 300억원 등 총 1600억원 규모로 CP 조달을 마쳤다. 롯데컬처웍스는 ▲지난 3월 400억원 ▲4월 400억원 등의 순으로 CP 발행을 한 바 있다. 이후 지난 5월 롯데컬처웍스와 메가박스중앙의 합병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운영자금 마련을 위해 6월 들어 CP 발행량을 늘리는 추세다.
앞서 지난 2월에는 강제상환옵션을 내걸고 100억원 규모 사모채를 발행하기도 했다. 연 5.6%의 높은 발행금리로 조달을 마쳤는데, 이후 단기 자금으로 시선을 돌렸다.
이어 메가박스중앙과의 합병 소식을 전한 후 조달 여건이 오히려 더 악화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CP 발행 업무를 맡은 증권사들도 시장에서 물량 소화가 원활하지 않다고 토로했다. 주관을 맡은 증권사가 신디케이션 조직을 통해 인수한 금융상품을 증권사나 은행 등 기관 투자자에게 셀다운(재판매)해야 하는 구조다.
이달에만 ▲한국투자증권 1300억원 ▲삼성증권 450억원 ▲NH투자증권 300억원 등의 순으로 롯데컬처웍스 CP 발행 주관을 맡았다. 3~4월에는 한국투자증권이 주관 업무를 도맡았으나, CP 발행 비중이 커질수록 다양한 주관사단을 확보했다.
롯데컬처웍스 CP 신용등급은 'A2-'등급이며, 회사채 신용등급은 매겨지지 않은 상태다. 통상 단기물 A2는 비우량물로 회사채 기준 BB~BBB급으로 여겨진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부정적 이슈가 있는 기업의 경우 기관 셀링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는다"며 "롯데컬처웍스 CP 주관 업무를 맡을 때에도 내부에서 이걸 꼭 해야겠냐는 이야기가 오고 갔다"고 말했다.
채권시장에서는 롯데컬처웍스가 단기물로 현금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뒤 신종자본증권(영구채) 조달 카드를 꺼낼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위해 증권사를 압박 중이라는 후문이다. 신종자본증권 발행 규모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롯데컬처웍스의 감사보고서를 살펴보면 연결기준 신종자본증권 발행 규모는 2023년 1492억원에서 2024년 1987억원으로 33.17%가량 늘었다.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의 합병법인이 외부 자본유치를 본격화해 경영권 이전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양사는 지난 5월 합병 MOU를 체결한 데 이어, 최근 UBS를 통해 전략적 투자자(SI)와 사모펀드(PEF)를 대상으로 투자 티저레터를 발송했다.
한 증권사 기업금융본부장은 "롯데컬처웍스가 시장 자금을 통해 (현재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시기는 지났다"며 "영화산업은 구조적인 위기에 놓여 있다.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가 합병한다는 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면서 외부 자금 유치를 받으면서 궁극적으로는 매각도 감안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롯데컬처웍스, 반년 새 CP 발행량 6배 증가
이달에만 1600억원 조달…시장 소화 어려워
신종자본증권 조달 카드 꺼낼 것으로 전망
이달에만 1600억원 조달…시장 소화 어려워
신종자본증권 조달 카드 꺼낼 것으로 전망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06월 27일 14:1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