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시행 이후 증권사로 자금 유출이 가속화된 가운데, 은행권이 수익률 제고를 위한 '방어 전략'에 나섰다. 은행권이 퇴직연금 계좌에 자사 원리금보장형 상품을 편입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상품에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적용할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다만 금융당국이 이를 받아들일지는 아직 미지수라는 전망이 많다. '퇴직연금공사' 설립안 등 새 정부가 낮은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만큼, 은행에 인센티브를 줄 동력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은 최근 금융위원회에 퇴직연금 계좌 내 자사 원리금 보장형 상품 편입을 허용해 달라는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자사에서 퇴직연금을 가입한 고객에게 예·적금 등 원리금보장형 상품 우대금리를 적용해 수익률을 제고하겠다는 취지다.
지난해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 시행 이후 은행권에서 증권업계로 퇴직연금 자금이 대거 이동하자 이같은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사들이 상장지수펀드(ETF) 등 다양한 비보장형 상품 라인업을 갖추고 있어 고객들이 대거 이동했기 때문이다.
ETF 실시간 거래가 불가능하다는 점도 은행권 고객 이탈의 한 요인으로 지목된다. 은행권은 ETF 실시간 거래 허용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지만, 금융위는 해당 기능이 증권업 라이센스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허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비보장형 상품의 수익률이나 거래 편의성 측면에서 증권업계와의 격차를 좁히기 어려워지면서, 은행권은 대안으로 원리금보장형 상품 강화를 꺼내든 모습이다.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제공하더라도 원리금보장형 상품을 선호하는 보수적인 고객층을 확보하는 편이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은행에 퇴직연금 자금을 맡긴 고객 중에는 위험자산 투자를 원하는 고객보다는 원리금 보장형 상품을 선호하는 고객들이 많다"라며 "결국 퇴직연금 운용자산의 일정 비중은 원리금보장형 상품으로 운용될 텐데, 조금이라도 고금리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는 게 맞다고 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최근 퇴직연금 개편과 관련한 문제의식을 고려했을 때 금융당국이 자사 원리금보장형 상품 편입을 허용할지는 불분명하다. 퇴직연금 운용자산 상당수가 원리금 보장 상품에 치중돼 있는 구조가 퇴직연금 수익률을 끌어내리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각 업권별 이해관계가 있지만 퇴직연금 제도 전체 측면에서 봤을 때 원리금 보장 자체의 효율성을 높이기보다는 실적배당형 상품을 적극적으로 확대하는 방향이 적절하다고 본다"라고 설명했다.
은행권, 금융위에 퇴직연금 자사 상품 편입 허용 요청
증권사에 ETF 경쟁력 밀린 은행, 우대금리로 승부수
원리금보장형 쏠림 우려...금융위 허용 여부 미지수
증권사에 ETF 경쟁력 밀린 은행, 우대금리로 승부수
원리금보장형 쏠림 우려...금융위 허용 여부 미지수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07월 03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