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조선이 조선업 훈풍과 공모주 시장에 몰린 시중 자금을 등에 업고 상장에 나선다. 15년 전 워크아웃까지 갔던 조선사가 하반기 가장 큰 대어로 기업공개(IPO) 시장의 관심을 받으며, 공모가는 사실상 밴드 상단에서 확정될 가능성이 유력하다는 전망이다.
대한조선은 17일 서울 페어몬트호텔에서 IPO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상장을 통해 최대 4000억원을 조달한다. 신주모집 80%, 구주매출 20%다. 공모 예정 주식수는 1000만주, 희망 공모가는 4만2000원~5만원이다. 수요예측은 7월 11일부터 17일까지, 일반청약은 22~23일 진행된다. KB증권, NH투자증권이 공동대표주관사, 신영증권이 공동주관사다.
시장에서는 사실상 공모가가 상단에서 확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 자체의 절대적 경쟁력보다는 외부 요인이 더 크게 작용했다는 평가다. 올해 들어 DN솔루션즈, 롯데글로벌로지스 등 대형 IPO가 잇따라 철회되며 시장에 '대어 갈증'이 커지면서다. 공모주 시장에 대기 중인 유동성도 대한조선에 우호적이다. 최근 상장한 기업 대부분이 수요예측에서 공모가가 희망밴드 상단으로 확정됐다는 점을 비춰보면 대한조선도 충분히 상단에 상장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대한조선이 7월 IPO 제도 개선 적용 전 기업이라는 점도 수급상 긍정적이다. 대한조선은 증권신고서를 지난달 24일 제출해 보호예수 물량 의무 유통 규제를 피했다. 7월 이후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기업은 공모주 청약 단계에서 확약 기관에 최소 30%를 우선 배정해야 한다. 상장 직후 유통 가능 주식 비중도 22%로 업계 평균 수준인 30% 보다 낮다.
다만 상장 6개월 후 2대주주이자 재무적투자자(FI)인 안다H자산운용의 보유지분 959만302주의 보호예수가 해제된다는 점은시장의 우려사항이다. 이에 대해 김종덕 대한조선 재무실장은 "안다H운용 물량은 비중이 높아, 블록딜 등을 통해 출회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대한조선은 워크아웃과 회생절차를 거쳐 기사회생한 회사다. 모태는 1987년 설립된 신영조선공업이다,.금융위기 여파로 2009년 워크아웃에 돌입했고, 2014년 기업회생절차를 거쳤다. 2022년 KHI그룹이 2000억원에 인수하면서 체질 개선에 나섰다. 당시 KHI는 전략적투자자(SI)로, 한국투자PE와 SG PE는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했다.
이후 실적이 빠르게 개선됐다. 대한조선의 2024년 매출액은 1조746억원으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582억원, 당기순이익률은 16%로 업계 평균을 크게 웃돈다.
대한조선은 체급은 중형 조선사지만 수익성만큼은 대형사를 압도한다고 자평했다. 특히 자기자본이익률(ROE) 측면에서 대형사 대비 매력이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공모가 산정을 위한 피어그룹(비교기업)으로 대형 조선 3사(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과 HD현대미포를 제시한 데 대한 비판을 피하기 어렵단 평가다.
이에 대해 기자간담회에서 대한조선 측은 "자기자본 규모는 대형사들에 비해 작지만, 이익률이 높아 ROE(자기자본이익률)이 높은 만큼, 주주 입장에서는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설명했다.
조선업의 '피크아웃' 우려에 대한 질문에 대한조선은 수주잔량은 26척이며, 주력 선종인 중대형 탱커선의 노후화 비중이 높아 5년치 물량은 확보한 상태라고 밝혔다.
대한조선은 전남 해남에 조선소를 둔 중형 조선사로, 아프라막스와 수에즈막스급 유조선을 주력으로 생산한다. 국내에는 동급 선종에서 경쟁사가 없고, 주요 경쟁자는 중국 업체들이다. 주력 선종인 중대형 탱커선의 노후화 비중이 높아 안정적인 수주가 가능하다는 게 대한조선의 판단이다. 글로벌 탱커선 중 15년 이상 선박 비중이 40%, 20년 이상도 17%에 달한다.
희망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으로 대한조선 시가총액은 약 2조원에 달한다. 오랜만의 조단위 '대어'에 운용역들은 긍정적이란 평가다. 조선업 훈풍이 아직 꺾이지 않았고, 자금 상황도 풍부해서다.
한 공모주 펀드 운용역은 "유동성이 풍부한데, 대형사에 대한 니즈도 있어서 확약을 건 기관투자자들도 적지 않은 상황"이라며 "당장 수요예측은 흥행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DN솔루션즈·롯데글로벌로지스 철회…대어 갈증에 유동성 집중
제도 개선 전 마지막 IPO…유통물량 22%에 불과
워크아웃 졸업 후 실적 급등…수주잔량 5년치 확보
제도 개선 전 마지막 IPO…유통물량 22%에 불과
워크아웃 졸업 후 실적 급등…수주잔량 5년치 확보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07월 17일 15:13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