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해상이 시장 전망치를 밑도는 2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장기·자동차·일반보험 전 부문 손익이 줄었고, 고액 사고와 보험료 인하, 의료서비스 이용 증가가 겹쳤다. 투자손익이 늘었지만 보험부문 부진을 만회하기엔 역부족이었다.
13일 현대해상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당기순이익은 24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0.4% 감소했다. 증권가 컨센서스(약 2690억원)보다 8% 낮다. 영업이익은 3438억원으로 27.6% 줄었다.
상반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4506억원으로 전년 대비 45.9% 감소했다. 지난해 손실부담계약 관련비용 환입(2744억원)이라는 일회성 이익을 제외하면 감소폭은 19.3% 수준이다.
보험부문 부진이 두드러졌다. 2분기 장기보험 손익은 1841억원으로 전년 대비 36.6% 감소했다. 호흡기 질환 증가와 비급여 의료서비스 이용 확대로 보험금 예실차가 1441억원 악화했다.
자동차보험 손익은 9억원에 그쳐 97.7% 급감했다. 연속된 보험료 인하와 물가 상승에 따른 보상원가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일반보험 손익은 금호타이어·흥덕IT밸리 등 고액사고 발생으로 276억원을 기록하며 39.5% 줄었다.
투자부문은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2분기 투자손익은 1295억원으로 35.0% 증가했다. 채권투자 확대와 이자수익 증가가 주효했다. 상반기 투자손익은 2364억원으로 전년 대비 15.8% 늘었다.
보험계약마진(CSM) 잔액은 9조 3,764억원으로 지난해 말 대비 13.7% 증가했다. 신계약 CSM배수는 17.4배로, 전년 말(12.9배) 대비 4.5포인트 상승했다. 지급여력비율(K-ICS)은 170.0%로 같은 기간 13.0%포인트 개선됐으나, 200%를 넘는 주요 경쟁사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업계에서는 자본 감소와 실적 부진이 장기화할 경우 내부 동요와 함께 오너 3세인 정경선 전무의 경영 리더십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상반기 순익 전년比 45.9% 급감...일회성 제외해도 19% 감소
장기·자동차·일반보험 손익 모두 감소…고액 사고·요율 인하 증가 부담
투자손익 선방에도 실적 부진…킥스비율, 경쟁사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
장기·자동차·일반보험 손익 모두 감소…고액 사고·요율 인하 증가 부담
투자손익 선방에도 실적 부진…킥스비율, 경쟁사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08월 13일 15:44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