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CJ도 못 찾은 영화관 돌파구…이제 공은 FI로 넘어가
입력 25.08.19 07:00
취재노트
영화관 산업 침체 속 원매자 확보 난항 전망
CGV의 亞사업 포기·FI의 투자실패로 끝날까
  • CJ CGV의 CGI홀딩스 콜옵션 행사 결정 및 통보 기한이 ‘미회신’으로 최종 만료됐다. CJ CGV 측이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서, MBK파트너스·미래에셋증권PE 컨소시엄은 CJ CGV의 보유 지분까지 포함해 제3자에게 매각할 수 있는 권한을 공식적으로 확보하게 됐다.

    통상 투자유치에서 ‘강제매각’ 조항은 사업부를 잃게 되는 기업 입장에서 부담이 큰 조건으로 꼽힌다. 그러나 이번에는 강제매각권을 보유한 재무적 투자자(FI)들도 원매자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으로 부담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MBK파트너스·미래에셋증권PE 컨소시엄은 이미 CGI홀딩스 지분 전량 매각을 위한 주관사 선정에 나선 바다. 본격적인 매각 절차를 위해 기존 모건스탠리에서 다른 글로벌 IB로 교체를 진행하고 있다. CGI홀딩스가 아시아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만큼, 해외 투자자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점을 중점적으로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CJ CGV 측도 문제 해결을 위해 자체 자본 조달 방안 등을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최근 CJ CGV의 재무 상황은 대규모 자금을 투입해 해외 자회사까지 인수·유지하기 어려운 여건이다. 지난 5월 4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이 미매각됐고, 이 여파로 1000억원 규모의 회사채도 전량 미매각됐다. 내년 4400억원 규모의 콜옵션 행사 일정이 예정돼 있으나, 이 또한 이행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CJ그룹 차원의 대응 필요성을 제기해 왔다. M&A나 시장성 거래 등은 지주사에서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아 지주 측 지원 가능성이 거론된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자본 악화가 가속화됐고, 이 기간 CJ㈜가 지속적으로 자금을 투입해 온 만큼 추가 지원이 쉽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해 7월 CJ CGV가 FI 지분 일부(1263억원)를 되사긴 했지만, 추가 수천억원 투입은 부담이 크다.

    CGI홀딩스의 FI인 미래에셋증권을 포함해 국내 다수 증권사도 이미 CJ CGV의 자금 조달을 여러 차례 지원했다. 이 때문에 추가 지원에는 신중할 수밖에 없다. 미래에셋증권은 2022년 CJ CGV의 영구 전환사채(CB) 단독 주관을 맡았다가 대량 미매각이 발생했고, 현재도 실권주를 보유 중이다.

    FI 측이 원매자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한동안 현 상태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CJ는 아시아 영화관 사업에서 철수하는 것으로, FI는 투자 회수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거래의 난이도가 높은 이유는 CGI홀딩스 개별 기업의 사정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영화관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가 투자자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2, 3위 사업자인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합병과 외부 투자 유치에 나서고 있으나 난항을 겪고 있다.

    사실상 영화관 산업이 ‘공간 대여업’ 성격으로 변모하는 가운데, 향후 어떤 업종이 영화관 사업에 자금을 투입하느냐에 따라 산업 구조 변화가 뚜렷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투자 유치를 진행 중인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 측도 엔터테인먼트·게임사, 애드테크(디지털 광고) 기업 등을 잠재 인수 후보군으로 정하고 접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