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감독원에서 금융소비자보호원(금소원)이 분리·신설되는 안이 확정되자 직원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이세훈 금감원 수석부원장이 '인적 교류' 카드를 꺼내긴 했지만 직원들의 부정적 인식은 여전하다. 특히 '누가 금소원으로 가느냐'를 놓고 기존 금소처 직원 및 특정 전공으로 입사한 직원들의 동요가 커지는 등 혼란스러운 분위기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가 최근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분리해 금융소비자보호원(금소원)을 신설하고, 금감원과 금소원을 공공기관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정부조직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금감원 직원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금감원 직원들은 금소원이 독립기관이 되면서 금감원 감독·검사부서와 인사교류가 없어질 경우 직원들의 전문성과 역량이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금소원이 검사나 제재권을 가져가는 '쌍봉형'으로 분리된다고 해도 기존 건전성 감독 업무와 거리가 있고 업무 강도 또한 높다는 설명이다.
우려가 커지자 이세훈 수석부원장은 지난 8일 조직개편안 관련 간담회를 열고 직원들 '달래기'에 나섰다. 특히 금소원 분리 이후 '인적교류'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확정된 것은 없지만 단순 파견, 학술 연수 차원이 아니라 실질적 고용 변경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금감원 노조는 이같은 인적 교류는 의미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앞서 당정이 지난 7일 고위당정협의회 개최 직후 금소원과 금감원을 '별도 기관'이라고 선을 그은 상황에서 얼마나 실효성 있는 인적 교류가 이뤄질 수 있겠냐는 것이다.
이날 윤태완 금감원 노조 부위원장 또한 금감원 본원 1층 로비에서 열린 시위에서 "이세훈 수석부원장이 금소원 분리 이후 파견 형식으로 인적 교류를 추진한다고 하는데, 1년 공부하고 오는 게 인적 교류냐"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인적 교류' 언급에도 직원들의 동요는 그치지 않고 있다. 금융당국 개편에 따른 후속 입법 절차 등 거쳐야 할 관문이 남아있긴 하지만, 금감원 직원들 입장에서는 '누가 금소원으로 이동할 것이냐'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현재 금소처에 있는 직원들의 불안감이 적지 않다. 현재 금소원장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김은경 전 처장은 앞서 금소원 분리를 꾸준히 주장해 왔는데, 당시 현재 금소처에 근무하는 사람들을 그대로 옮기겠다는 취지의 자료를 발표한 것으로 전해진다.
금소원을 분리하게 되면 현재 400여명 수준인 금소처 인원에서 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기존 감독·검사국 인력이 금소처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현재 금감원 임직원은 약 2000명 수준이다.
이에 금감원 채용에서 소비자학 전공으로 입사한 직원들의 이동 가능성이 높다는 '설'이 나오는 등 직원들 사이에서 동요가 적지 않다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소비자 직렬로 입사한 직원들이 그동안 경제, 경영 등 다른 직군과 부서 배치 등에서 구분되지 않았기 때문에 반발의 목소리도 나온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소비자학 전공이라고 해도 똑같은 전형으로 들어와 똑같이 일해 왔는데, 이동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데 대한 반발심이 크다"라며 "그럼 경제 직렬로 들어오면 무조건 건전성을 감독하는 쪽으로 게 맞냐는 반문도 나오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렇다 보니 금감원 내부에서는 "직원들에게는 '최악'의 조직개편이고, 고위직들에게만 좋은 조직개편"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별도 조직으로 분리되면서 임원 자리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제한돼 있던 금감원 임원 자리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라는 인식도 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금소원 분리 확정에 금감원 내부 반발 확산
'인적 교류' 카드 꺼낸 수석부원장, 노조는 강력 반발
소비자학 전공 직원 이동설까지…불안감 고조
"직원에겐 최악, 임원에겐 기회" 냉소적 시각도
'인적 교류' 카드 꺼낸 수석부원장, 노조는 강력 반발
소비자학 전공 직원 이동설까지…불안감 고조
"직원에겐 최악, 임원에겐 기회" 냉소적 시각도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09월 09일 16:08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