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카드, 홈플러스·해킹 겹악재…늘어난 배당은 그대로, 충당금 부담은 가중
입력 25.09.22 07:00
단기 조달 의존도 높은데 충당급 적립 압박까지
"SKT와 동일비율 적용시 과징금만 270억원 추산"
배당 늘리며 체력 약화 우려…매각 절차도 지연
  • 롯데카드가 각종 악재에 직면하며 충당금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이번 해킹 사고로 인해 롯데카드 매각에도 당분간 차질이 불가피해진 모습이다. 대주주인 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배당을 통해 꾸준히 수익을 거두는 구조는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체력 저하 우려도 제기된다.

    지난해 말 롯데카드는 중소 렌털업체에 제공한 팩토링(매출채권 유동화) 대출에서 대규모 부실이 발생했다. 연이어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구매카드결제대금 채권으로 인한 피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관련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증가, 해킹 사고 등 여러 건의 리스크 요인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충당금 적립 압박이 커졌다. 단기 조달 의존도가 높은 구조적 한계까지 맞물리며 재무 부담이 부각되고 있다.

    롯데카드의 자금 조달 현황을 보면 올해(1월 1일~9월 19일) 들어 금융채 3조9300억원을 발행했다. 같은 기간 비교적 만기가 짧은 기업어음(CP)은 1조300억원, 전자단기사채 5조4150억원을 찍었다. 은행과 달리 자체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사는 시장성 조달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발생한 팩토링 채권 부실과 관련해 롯데카드는 2024년 381억원, 2025년 상반기 239억원의 대손비용을 각각 추가로 인식했다. 이어 홈플러스 구매카드결제대금 채권 관련 충당금은 아직 본격적으로 반영하지 않은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에만 160억원의 대손비용이 인식됐으며, 하반기에는 법원의 회생계획안에 따라 최종 추가 반영이 이뤄질 예정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순보유채권 793억원은 전액 회수의문(부실채권)으로 분류됐다.

    해킹 사고와 관련해서도 손해배상금, 고객 보상, 소송 비용 등에 대비해 충당부채를 추가로 설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선 확정적으로 부과되는 과징금·과태료 금액 규모를 살펴봐야 한다. 또 부정 사용으로 인한 소비자 실제 피해액 발생 여부, 롯데카드의 배상책임보험 커버 수준 등은 변수로 꼽힌다.

    한국기업평가는 "지난 4월 SKT 정보유출 사태에 대해 매출액의 1%인 1348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된 바 있다"며 "(롯데카드에) 동일비율을 적용할 경우 부과되는 과징금은 약 270억원으로, 지난해 당기순이익(1354억원)의 20%에 달하는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이처럼 충당금 적립이 늘어나는 상황에서도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배당을 통해 이익을 가져가는 구조가 유지되고 있다는 점도 부담 요인이다.

    롯데카드의 지난해 말 기준 결산 배당 총액은 1177억원으로 집계됐다. ▲2020년 659억원 ▲2021년 924억원 ▲2022년 992억원 ▲2023년 1042억원 등의 순으로 4년 사이 두배 가까이 늘었다. 사모펀드가 대주주인 특성상 투자자금 회수에 초점이 맞춰질 수밖에 없는데, 이 과정에서 카드사의 중장기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투자업계 관계자는 "MBK의 회수 전략과 맞물려 롯데카드의 중장기 체력 약화가 우려된다”며 "이익잉여금은 줄고, 리스크 관리 필요성이 커지는 상황에다 롯데카드 매각 절차도 지연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MBK파트너스는 지난 2019년 1조8000억원에 롯데카드를 인수한 이후 매각을 추진 중이다. 주요 금융지주와 전략적 투자자(SI)에게 매각 티저레터를 발송했으나, 본격적인 인수전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