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맹탕 국정감사’라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농협중앙회를 향한 국회의 칼날만은 날카로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최근 경찰의 압수수색을 받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을 둘러싼 비위 의혹이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회장 인사권과 지배구조 문제까지 함께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22일 국회에 따르면 강호동 회장은 오는 24일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한다. 농해수위는 강 회장의 개인 비위 의혹을 비롯해 조합장 선거 과정에서의 금품 수수, 매표 및 향응 제공 의혹, 선거 관리 부실 문제 등을 집중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여야 의원들 모두 강 회장을 정조준하고 있다.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지난 9월 농협은행 금융사고와 관련해 “강 회장이 전산 시스템 강화와 인력 보강을 약속했지만 개선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윤 의원을 비롯한 농해수위 의원들은 이번 국감에서 최근 경찰 압수수색과 관련된 구체적 경위를 따져 묻겠다는 방침이다.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는 지난 15일 농협중앙회 본부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강 회장은 지난해 중앙회장 선거 과정에서 금품을 수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경찰은 압수물 분석을 진행 중이며, 금품 전달 경로와 관련자 진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국회 관계자는 “압수수색이 이뤄졌지만 구체적인 수사 내용은 공개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국감에서 해당 의혹에 대한 의원들의 집중 질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감의 화살은 단순한 비위 의혹을 넘어 농협중앙회 지배구조의 구조적 문제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중앙회장에게 인사권과 경영권이 과도하게 집중돼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기 때문이다.
농협중앙회는 회장 중심의 인사 운영으로 인해 계열사 CEO 인선의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일부 의원들은 이번 국감을 계기로 회장의 인사권을 일정 부분 분산하거나, 견제 장치 마련 등 제도 개선 등도 고민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 국회 의원실은 “인사권과 조직 운영 투명성을 높일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찰 수사가 강호동 회장의 거취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관심사다. 과거 김병원 전 농협중앙회장은 선거법 위반 혐의로 1심에서 벌금형(300만원)을 선고받았지만 항소하며 임기를 끝까지 채운 바 있다.
이에 따라 “강 회장 역시 기소되더라도 법원의 최종 판단까지 시간이 걸려 임기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수사가 구속영장 청구로 이어질 경우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구속 수사 여부가 강 회장의 거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국감 이후 여론의 향방이 수사 방향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경찰 수사와 관련해서 언급할 부분은 따로 없으며, 추후 사실관계가 명확히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국감, 경찰 압수수색 여파 속 '강호동 리스크' 집중할 듯
중앙회장 권한 구조 개편 논의로 확산 가능성 거론
중앙회장 권한 구조 개편 논의로 확산 가능성 거론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10월 22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