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그룹이 이번 3분기 염가매수차익이 반영된 일회성 요인을 제외하면, 영업이익 기준으로는 오히려 역성장했다. 주력 계열사인 우리은행의 실적 둔화와 비은행 부문의 수익성 저하가 겹치며, 외형 확대 속 질적 성장세는 주춤했다. 29일 우리금융에 따르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1조2444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33% 늘었다. 다만 이 가운데 동양생명·ABL생명 인수 과정에서 발생한 염가매수차익이 상당 부분 반영됐다. 이를 제외하면 실질 이익은 영업이익 기준으로 전 분기 대비 10.8% 감소한 9880억원 수준이다. 이는 시장 전망치(컨센서스) 대비 17%나 감소한 수치다. 또 주력 계열사인 우리은행은 순이익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다. 우리은행은 자산 리밸런싱과 조달비용 효율화로 순이자마진(NIM)이 전 분기보다 3bp 높아졌으나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2조28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6% 줄었다. 3분기 순익은 7360억원으로 전분기(9170억원) 대비 20% 가까이 감소했다. 특히 비이자 부문 경우 전 분기 대비 29% 이상 감소해 부진했고, 영업이익은 954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3.4%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 효과를 제외하면 그룹 전체 실적은 보합 수준"이라며 "은행의 예대마진 축소와 충당금 증가가 수익성에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비은행 부문 실적도 엇갈렸다. 우리카드는 누적 순익이 1060억원으로 전년 대비 24.1% 감소했다. 조달비용 상승과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 구조적 요인이 겹쳤다. 동양생명은 1099억원으로 55.1% 줄었다. 보험 부문은 편입 효과에도 불구하고 시장금리 변동성 탓에 단기 수익성이 제한됐다. 반면 우리투자증권은 210억원의 순익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13.3% 급증했다. 자기자본 운용 및 투자금융(IB) 수수료가 개선된 영향이다. 그룹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2.92%로 전분기 대비 10bp 상승했다. 환율 상승과 M&A 자본 부담에도 개선세를 보이며 연말 목표치(12.5%)를 넘어섰다. 우리금융은 "13% 조기 달성도 가능하다"며 밸류업 이행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이사회는 3분기 분기배당으로 주당 200원을 확정했다. 그룹은 경기 둔화 우려에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확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그룹 0.70%, 은행 0.31%를 기록했고, 은행 연체율은 0.36%로 하락했다. NPL 커버리지 비율은 그룹 130.0%, 은행 180.9%로 개선됐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자산 리밸런싱 등 질적 개선으로 자본비율이 13% 수준에 근접했다"며 "4분기부터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적 금융 전환에 주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실적은 임종룡 회장의 연임 논의에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최근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개시했으며, 임 회장은 내년 3월 임기가 만료된다. 임 회장은 생명보험사 인수와 증권사 출범으로 그룹의 종합금융 체계를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은행 실적 둔화와 영업이익 감소는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3분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 1조2444억
동양생명 염가매수차익 빼면 전분기 대비 영업익 11% 감소
우리은행·카드 실적 하락…"일회성 제외 땐 보합 수준"
			동양생명 염가매수차익 빼면 전분기 대비 영업익 11% 감소
우리은행·카드 실적 하락…"일회성 제외 땐 보합 수준"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10월 29일 17:29 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