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과 SK, 현대차그룹이 엔비디아와 손을 잡고 제조업 혁신에 나선다. 각 그룹 사업장에 엔비디아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적용해 피지컬 AI 구현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31일 삼성전자와 SK그룹, 현대차그룹이 연이어 엔비디아와의 대규모 협력 계획을 발표했다. 이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한국 정부와 4개 기업에 총 26만장의 가속기(GPU)를 공급하겠다고 발표한 데 맞춰 구체적인 협력 내용이 드러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와의 전략적 협업을 통해 반도체 제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엔비디아의 '옴니버스(Omniverse)'를 활용해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생성되는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스스로 학습하고 판단하는 제조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옴니버스는 엔비디아가 개발한 가상 시뮬레이션 기반 '디지털 트윈' 플랫폼이다. 제조업 생산공정을 온라인 3차원 공간에 똑같이 구현해 실제 공정에서 수율, 오류 등을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엔비디아는 해당 기술을 제조업에 도입하면 생산효율을 끌어올리고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SK그룹은 옴니버스 기반의 피지컬(제조) AI 클라우드 구축을 담당하게 된다. SK하이닉스와 SK텔레콤, SK E&S 등 각 계열사가 AI 팩토리 클러스터를 구축해 옴니버스를 국내 제조업 전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제조 공정뿐 아니라 중소 제조업체, 스타트업에도 이 같은 기술을 지원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옴니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공장 내 로보틱스 적용을 가속화하고 제조업 현장을 완전 자율형·소프트웨어(SW)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향후 엔비이아와 함께 국내 피지컬 AI 분야에 약 30억달러(원화 4조3000억원) 규모 투자 계획도 내놨다. 3개 그룹과 엔비디아의 협력이 가시화하면서 국내 제조업 전반이 옴니버스 플랫폼 위에서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도 이 같은 구조를 '국가 피지컬 AI 클러스터' 형태로 제도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GPU 협력 발 맞춰 국내 제조업 전반에 옴니버스 적용
엔비디아가 개발한 플랫폼…제조업의 SW화 가속 전망
피지컬 AI 클러스터 전진기지된 韓…정부 제도화 지원
			엔비디아가 개발한 플랫폼…제조업의 SW화 가속 전망
피지컬 AI 클러스터 전진기지된 韓…정부 제도화 지원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10월 31일 16:34 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