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금융그룹과 신한금융그룹이 각각 향후 5년간 110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금융을 추진한다. 국민성장펀드에도 동일한 10조원씩을 출자하기로 했다. 부동산 중심의 금융 구조를 벗어나 국가전략산업 및 지역 균형발전, 그리고 민생지원에 자금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은 ‘생산적금융 협의회’를 중심으로 총 110조원의 금융 지원 계획을 확정했다. 생산적금융은 93조원, 포용금융은 17조원 규모다.
생산적금융 93조원 중 25조원은 투자금융, 68조원은 전략산업융자로 구성된다. 투자금융은 국민성장펀드 10조원과 그룹 자체투자 15조원으로 나뉜다. 전략산업융자는 첨단산업과 유망성장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을 공급한다.
정부의 ‘5극 3특’ 지역균형발전 전략에 맞춰 권역별 산업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수도권·동남권·대경권·중부권·호남권 등 5대 초광역권과 제주·강원·전북 등 3개 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인프라·에너지·데이터센터·물류·항만 등 분야 투자를 확대한다.
포용금융 17조원은 서민·취약계층과 소상공인·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금융지원에 배정된다. 채무조정, 장기분할상환 등 재기지원 프로그램도 포함된다.
KB금융은 계열사별 전담조직을 운영하며 추진 상황을 점검한다. KB국민은행은 생산적금융 중심의 기업대출 조직 신설을 검토 중이며, 첨단산업 심사부서를 신설했다. KB증권은 미래산업 리서치 조직을 개편했고, KB자산운용은 관련 운용조직을 확대했다.
같은 날 신한금융 역시 2030년까지 총 110조원을 공급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생산적금융은 93~98조원, 포용금융은 12~17조원 규모다.
생산적금융 중 10조원은 국민성장펀드에 출자해 반도체·AI·에너지·인프라 등 국가전략산업을 지원한다. 별도로 10~15조원의 그룹 자체투자를 통해 성장기업과 혁신산업에 자금을 공급한다. 은행 중심으로는 중소·중견기업 대상 72~75조원 규모의 대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신한금융은 이미 반도체 산업 클러스터 교통·용수 인프라 등 첨단산업 기반시설에 5조원,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CTX) 등 지역 인프라 사업에 5조원 등 총 10조원 규모의 금융주선을 진행 중이다. 또 데이터센터·신재생에너지 개발펀드 등 13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했고, 연말까지 30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포용금융은 서민·소상공인·자영업자의 재기 지원과 금융비용 부담 완화에 초점을 맞춘다. 중금리 대출과 대환대출 서비스를 확대하고, 채무조정·신용회복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한다. 고금리 대출 이용자를 대상으로 금리 감면과 상환 부담 완화도 추진한다.
두 금융그룹 모두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조직도 정비했다.
KB금융은 부동산금융 비중을 줄이고 기업·인프라금융 부문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조직을 조정 중이다. 최근 KB국민은행은 산업은행과 함께 3조3000억원 규모의 용인반도체클러스터 금융주선을 완료했으며, KB증권은 정부 상생결제대출 시장 참여를 준비 중이다.
신한금융은 그룹 통합 관리조직(PMO)을 신설했다. 은행·증권·카드·캐피탈 등 주요 계열사가 참여해 분과별 과제 설정, 자본 관리, 추진 성과 점검 등을 수행한다.
신한금융은 건전성 중심의 자본 관리 체계를 유지하며, 산업과 민생 전반에 자금이 안정적으로 순환되도록 관리할 방침이다.
국가전략산업 및 지역 균형발전, 민생지원 자금 투입
KB금융, 생산적금융 93조원ㆍ포용금융 17조원
신한금융, 생산적금융 93~98조원ㆍ포용금융 12~17조원
정책 지원 위한 조직 정비도 각각 실시
KB금융, 생산적금융 93조원ㆍ포용금융 17조원
신한금융, 생산적금융 93~98조원ㆍ포용금융 12~17조원
정책 지원 위한 조직 정비도 각각 실시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25년 11월 09일 09: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