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렸던 부실 터지자 NPL 시장 '구인난'..."일할 사람이 없다"
입력 2025.05.16 07:05
    PF 부실 급증에 NPL 매각 확대… 은행·상호금융권 매각 20조원 육박
    전문 인력 부족에 자회사 출범에도 실무 공백 우려
    "NPL 시장은 구조적으로 확장 어렵고 인력은 제한적"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 신협중앙회는 지난해 부실채권(NPL) 전문 자회사인 KCU NPL대부를 출범했다. 당초 본부 소재지인 대전에 설립을 검토했지만, 결국 서울에 사무소를 열었다. 인력 부족으로 인해 대전에서는 경력직 채용이 쉽지 않았던 까닭이다.

      #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오는 7월 NPL을 취급하는 자산관리회사를 출범할 예정이다. 손자회사 MCI대부만으로는 NPL 수요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다만 출범을 앞두고 새마을금고 안팎에서는 '새 자회사에서 일할 사람을 확보할 수 있느냐'는 의문이 꼬리를 물고 있다. NPL 업계에는 '쓸만한 경력직'이 이미 자취를 감춘지 오래라는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정책으로 억눌려 있던 부실이 터지면서 부실채권(NPL) 시장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사무소를 서울로 옮기거나 수시채용을 열어도 전문 인력을 찾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업계 전반에서 커지고 있다. NPL 시장은 진입장벽이 높고, 인력 풀이 제한적인 데다 저금리 시대가 길게 이어지며 이탈한 인재가 많아 인력 수급이 더 어려운 상황이다.

      금융권에서는 올해 은행권과 상호금융권 등을 포함한 NPL 매각 규모가 15조~20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대 수준이다. 금융권 전반에서 부실채권 정리가 시급하지만, 특히 상호금융권은 전문 인력을 구하지 못해 고심이 깊다는 설명이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상호금융권의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2021년 말 12조원에서 2023년 6월 말 41조원으로 3.4배나 늘었다. 코로나19 당시 저금리 기조 속에서 PF 대출, 특히 브릿지론이 급증했지만, 부동산 경기 악화로 연체율이 빠르게 상승했기 때문이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지난해 6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비율이 9%를 넘기며 건전성 우려가 커졌다.

      상호금융권은 부실 정리를 위해 대부업 자회사를 설립하거나 자산관리 회사를 신설하며 대응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인력 채용이 발목을 잡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농협중앙회는 지난해부터 외부기관을 통한 입찰 방식으로 NPL을 매각하고 있다. 이전엔 대부분 자회사인 농협자산관리회사로 NPL을 처리했지만, 부실채권 규모가 워낙 커져 외부 매각이 불가피해졌다는 설명이다.

      수협중앙회와 신협중앙회는 각각 Sh대부와 KCU NPL대부를 지난해 설립하며 직접 대응에 나섰다. 신협중앙회는 100% 자회사인 KCU NPL대부를 출범시켰고, 수협은 같은 해 11월 '수협엔피엘대부'라는 법인으로 공식 출범해, 올해부터 NPL매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그러나 NPL 정리를 위한 인재 확보는 여전히 난항이다. 인력 풀이 작고, 장기간 이어진 저금리로 시장에서 이탈한 인력이 많아 경쟁사 간 채용도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NPL 시장의 구조적 한계도 문제로 지적된다. 시장 자체의 확장성이 크지 않아 인력을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NPL이 일시적으로 증가해도 정리되면 다시 시장이 위축되는 구조여서다. 

      한 NPL 업계 관계자는 "NPL 시장은 구조적으로 사이즈를 키우기 어려운 특성이 있다"며 "지금 부실이 많아도 몇 년 후면 다시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한정된 인력 풀 안에서 인재를 돌려 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상호금융권 NPL 자회사들이 원하는 수준의 인재와 눈높이를 맞추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NPL을 오래 경험한 인력이 드물고, 회계법인 출신 회계사나 감정평가사 정도가 즉시 업무가 가능한데, 상호금융권이 이들의 기대 급여 수준을 맞추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