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특례 문턱 높였던 윤 정부…민주당 집권 시 완화 기대감
VC·주관사, 회수 가능성 열릴까 주시…기준 변화 가능성 촉각
-
오는 6월 3일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벤처캐피탈(VC)과 상장을 준비 중인 비상장사들이 차기 정부에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투자자 보호에 방점을 맞추며 상장 심사 기준을 높였던 현 정부와는 다른 기조를 띌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현재 집권이 유력한 더불어민주당이 이전 문재인정부 당시 벤처기업 육성과 상장 활성화에 공을 들였다는 점에서, 기술특례상장(기특) 심사 기준이 완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18일 증권가에 따르면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들어 지금까지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한 기업 수는 30곳에 불과하다. 같은 기간 2024년과 2023년에는 각각 51곳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뚜렷한 감소세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불확실성을 피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차기 정부가 들어선 이후 상장을 추진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판단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주관사들도 대선 이후를 겨냥해 기특 상장 시기를 조율하는 분위기다.
한 기술특례상장 컨설턴트는 "최근 상장을 준비하던 두 곳의 기업이 주관사 권유로 상장 일정을 하반기로 늦췄다"며 "기술성 평가 기준은 통상 반기마다 바뀌는데, 6월 대선을 전후해 정권이 바뀔 경우 기준도 크게 달라질 수 있어 시점을 조정한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VC업계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정권을 잡을 경우 자금 회수 여건이 지금보다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윤석열 정부 들어 기술특례상장 등 IPO 문턱이 높아졌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인식이다. 전례상 민주당 정권에서는 모험자본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는 흐름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기술특례상장 제도는 문재인 정부 초기에 본격적으로 도입·확대된 제도다. 당시 정부는 유니콘 기업 육성, 벤처 투자 활성화, 혁신성장 등을 경제정책의 중심에 두며, 특례상장을 통한 모험자본 회수 구조를 만들고자 했다.
증권사 IPO 부서 역시 정권 교체에 따른 환경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이재명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IPO 기대감이 올라간 건 사실"이라며 "명시적 공약은 없지만, 2021년처럼 신규 상장 기업 수나 공모금액이 크게 늘어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민주당이 집권하면 거래소가 높였던 상장 문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기대가 있다"며 "윤석열 정부는 모험자본에 소극적이었다는 게 IPO 업계의 공통적인 평가"라고 했다.
다만 지나치게 높아진 기술특례상장 기준이 정권 교체만으로 곧바로 완화되긴 어려울 것이란 신중론도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3~4년간 기특 심사 기준이 꾸준히 높아지며 거래소 직원들의 워라밸이 좋아졌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온다"며 "정권이 바뀐다 해도 과거처럼 문턱이 크게 낮아질지는 지켜봐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