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 투자유치 참여 검토 중
연기금 공제회 출자 꺼리는 상황에서
PEF 시장에 존재감 이전 보다 커질 듯
‘출자비리’ 오명 벗을지도 관심사
-
새마을금고가 사모펀드(PEF) 출자 시장에 사실상 완전 복귀했다. 출자 비리로 인해 수년간 출자 활동이 중단됐던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블라인드 펀드 출자를 재개한 데 이어, 올해 하반기부터는 프로젝트 펀드에도 핵심 출자자(앵커 LP)로 나설 수 있게 됐다.
시장에선 주요 연기금과 공제회들이 출자에 소극적인 가운데, 새마을금고의 복귀가 PEF 자금 조달 시장에서 ‘슈퍼 갑’의 존재감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기업들도 새마을금고에 ‘러브콜’을 보낼 것으로 보인다.
6일 투자금융(IB) 업계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이달부터 본격적인 프로젝트 펀드 출자에 나설 예정이다. 상반기 중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통해 기존 내부 규정(프로젝트 펀드에 앵커 LP로 참여 불가)을 수정한 결과, 리스크관리위원회 승인을 전제로 출자가 가능해졌다.
새마을금고는 내부적으로 “채권 투자 수익률이 급격히 하락한 상황에서 대체투자를 통해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한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프로젝트 펀드 출자 요건이 완화되면서 전략적으로 우량 딜을 중심으로 앵커 LP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리스크관리위원회의 정교한 사전 심사를 거쳐 안정성과 수익성을 모두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마을금고는 2023년 출자 비리 사건으로 박차훈 전 회장과 실무 담당자가 재판에 넘겨지며 PEF 출자 전면 중단을 선언한 바 있다. 이후 내부적으로 블라인드 펀드와 프로젝트 펀드 모두에 대한 출자 제한 조치를 시행했고, ‘앵커 LP 참여 금지’ 조항도 도입했다.
하지만 연이은 금융사고와 자산 건전성 문제 등으로 인해 수익성 확보가 절실해지자 출자 재개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따라 상반기 중 행안부와의 협의를 통해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 제한적으로 앵커 LP 참여를 허용하는 구조로 전환한 것이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블라인드 펀드 출자를 재개하며 신호탄을 쏘아 올렸고, 이번 프로젝트 펀드 출자까지 더해지면서 사실상 과거 수준의 출자 활동으로 회복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PEF 업계는 새마을금고의 복귀를 반기고 있다. 특히 출자 중단 기간에도 관계를 유지했던 중견급 하우스들은 새마을금고의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과거 출자 비리에 연루됐거나 규모가 지나치게 작은 일부 운용사는 이번 프로젝트 펀드 선정에서 배제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PEF 운용사 관계자는 “출자 재개 이후 새마을금고가 적극적으로 딜 제안을 요청하고 있다”며 “보수적으로 운용하는 대신 수익률이 높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딜을 선호하는 편”이라고 전했다.
새마을금고는 일반적으로 수익률 13~14% 수준을 요구하고 있으며, 대기업 딜처럼 하방이 구조적으로 막혀 있는 경우에는 한 자릿수 수익률에도 출자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올해 들어 대부분의 연기금 및 공제회가 출자 활동을 사실상 중단하면서, 새마을금고는 시장 내 유일한 실질적 기관 LP로 주목받고 있다. 국민연금은 블라인드 펀드 출자 계획조차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군인공제회와 사학연금 등도 정권 교체에 따른 이사장·CIO 인사로 인해 출자 심의가 미뤄지고 있다. 금융지주 계열사들 역시 RWA 규제 부담으로 출자를 줄이고 있다.
한 기관투자자는 “올해 국내 LP 시장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라며 “자금 확보에 나선 운용사 입장에선 새마을금고가 거의 유일한 희망”이라고 말했다.
현재 진행 중인 SK온 2조 원 규모 투자 유치에도 새마을금고가 유력한 앵커 LP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메리츠증권이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이 딜은 새마을금고가 일부 셀다운 물량을 받아줄지 여부가 딜 클로징의 핵심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새마을금고 측은 “딜 구조와 조건이 확정된 이후 본격적인 검토에 들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업계에선 해당 거래가 출자 재개 이후 사실상 첫 프로젝트 펀드 참여 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새마을금고가 출자 시장에서 ‘슈퍼 갑’으로 재부상하면서, 과거와는 달라진 리스크 관리 능력을 입증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특히 출자 비리 재발 방지를 위한 조직 개편, 내부 심의체계 강화 등 제도적 변화가 실제로 기능하는지가 관건이다.
한 연기금 관계자는 “과거 금융위로의 관리 이관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현재는 행안부가 관리 감독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방향이 정리됐다”며 “결국 새마을금고뿐 아니라 행안부의 관리 능력 전반이 함께 시험대에 오른 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