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 머리 맞댔다…포스코이앤씨發 정부 엄포에 비공개 긴급회의
입력 2025.08.19 14:55
    18일 건설협회 주관 비공개 CEO 간담회 개최
    중대산업재해 근절 방안 공유…업계 의견 수렴
    강경한 규제 논의에 산업 위축 우려 목소리도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국내 주요 건설사 최고경영자(CEO)와 경영진들이 한자리에 모여 건설업계를 둘러싼 리스크 해소 방안을 논의했다. 건설 현장 산업안전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정부가 대형 건설사를 향해 압박 수위를 끌어올리자 공동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후 서울 건설회관에서 대한건설협회 주관으로 비공개 CEO 간담회가 열렸다. 17개사의 건설사 CEO와 경영진들, 더불어민주당 산업재해예방 태스크포스(TF) 인력 등 다수가 참석했다. 다만 포스코이앤씨, 현대건설, GS건설 등 일부 건설사들의 CEO는 일정상의 이유로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산업재해 사망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포스코이앤씨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이 엄중 대응을 지시하면서 건설업 전반에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 지난 14일에는 고용부가 ‘건설업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20대 건설사 CEO 간담회’ 열어 "노심초사하라"며 엄포를 놓자 건설사들끼리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중대산업재해 근절 방안을 공유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각사별로 중대재해 근절을 위해 어떤 활동을 하는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고용노동부와 국토교통부가 마련한 중대재해 감축을 위한 조치 대응 방안 등과 관련해 의견을 나눴다. 간담회를 주최한 건설협회도 협회 차원에서 정부에 요청할 만한 사안이 있는지 업계의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쳤다.

      실제로 건설사들은 안전 매뉴얼 재점검과 안전 인력 추가 투입에 나섰다. 또 전직원을 대상으로 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하라는 특별 담화를 전달하는 등 고삐를 죄는 분위기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세부적인 법안이나 지엽적인 얘기보다는 산업 전체 차원에서 중대 재해 근절을 위한 방안을 나누는 자리였다"며 "바쁜 일정에도 꽤 많은 인원이 참석해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공유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가 산업재해와 관련해 강경한 기조를 내비치다 보니 건설협회가 비공개로 긴급 간담회를 열었다"며 "안전에 대한 비용이 과도하게 잡히면 산업 자체가 위축돼 기업들의 정상적인 경영활동이 힘들어질 수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했다.

      앞서 국토교통부와 고용노동부는 전국 건설 현장에 대한 관계기관 합동 단속에 나서기로 했다. 단속 대상은 중대 산업재해 발생 건설자의 시공 현장 등이며, 단속 기간은 지난 11일부터 오는 9월 30일까지 50일간이다.

      또 국회에서는 기존 중대재해처벌법(중처법)보다 규제 강도가 훨씬 높은 건설안전특별법(건안법) 제정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안전 관리 의무 위반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영업정지 1년 또는 매출액의 3% 이내 과징금 부과를 골자로 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형 건설사의 영업이익률이 2~3%에 달하는데 건안법이 통과될 경우 한해 영업이익을 통째로 과징금으로 내야 해 사실상 회사 운영이 불가능해진다"며 "강력한 처벌만으로는 산업재해를 방지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