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도 안심 못하는데…신동아건설은 법정관리 조기 '졸업' 예고
입력 2025.08.26 07:00
    대형 건설사 '빨간불'…사고 인한 파장 손실 적지 않아
    건설사 줄도산 현실…376곳 폐업·11곳 법정관리 진입
    업계, 신동아건설 6개월 만 회생계획안 승인에 '촉각'
    토목 사업서 현금 확보, 용산 사옥은 직접 개발 예정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올해 들어 건설업계의 분위기는 참담한 수준이다. 중견 건설사들의 줄도산 우려가 현실화한 데 이어, 최근 포스코이앤씨의 연이은 사고로 대형사들까지 경고음이 터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회생 절차를 밟아온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졸업' 시계가 빨라지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건설 현장에서 잇따른 사망 사고가 발생하자 정부는 대형 건설사를 향한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포스코이앤씨·DL건설 건설 현장에서 사망사고가 잇따르는 상황과 관련해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란 경고까지 보냈다. 특히 그 중심에 있던 포스코이앤씨는 사고의 파장 효과로 인한 비용 부담이 클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포스코이앤씨 측은 공사 재개를 통해 피해액을 최소화하겠단 방침이다. 

      중소형 건설사들 사이에서는 이미 줄도산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올해 들어 건설사 폐업 신고 건수는 376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1.6% 증가했다. 1월부터 현재까지 법정관리를 신청한 종합건설사도 11곳에 달한다. 이런 흐름 속 올해 초 회생 절차에 들어간 신동아건설은 이례적으로 빠른 시일 내 법정관리를 졸업할 가능성이 제기되며 업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신동아건설은 최근 회생계획안을 법원에 제출해 법원의 일차적 승인을 받았다. 통상 조사보고서에서 청산가치보다 계속기업가치가 높게 평가돼야만 회생 절차를 이어갈 수 있다. 조사위원회가 제출한 조사보고서 결과가 긍정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오는 29일 관계인 집회가 예정돼 있다. 집회에서 담보채권자 4분의 3, 무담보채권자 3분의 2 이상의 동의를 얻을 경우 회생계획안은 가결될 것으로 보인다. 특별한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는 한 법원은 며칠 안에 인가 승인을 결정할 전망이다. 이 경우 회생계획안은 즉시 효력을 갖게 된다.

      하나의 채권자라도 변제를 시작하면, 법적으로 법정관리를 종결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법원에서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판단할 경우, 법정관리는 1~2개월 내에 최종 종결될 전망이다. 

      다음주 예정된 관계인 집회에서 채권자들의 동의 여부가 분수령이 될 예정이다. 변수가 생길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채권자들은 회사 회생계획안에 우호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통상 회생계획안 인가까지는 약 1년이 소요되지만, 신동아건설은 불과 6개월 만에 절차가 진행되며 이례적으로 빠른 속도를 내고 있다. 사안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건설사 줄도산 우려가 커지고, 올해 들어 법정관리에 들어간 업체가 많아지자 법원에서도 선제적으로 졸업에 성공한 건설사를 만들고 싶어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신동아건설은 토목 사업부분에서 공사비를 받아 일부 현금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된다. 대주단 전원 동의를 통해 공매 절차를 추진하려던 용산 본사 사옥은 매각 대신 신동아건설이 직접 개발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해당 부지는 입지가 뛰어나 개발이 이뤄질 경우 수익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건설사들은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이후, 이를 인수하기 위해 검토에 나섰다. 시공능력 순위가 높고, 주택 브랜드 '파밀리에'를 보유하고 있어 외면받는 매물은 아니었다. 다만 회사의 청산가치가 높아 적극적으로 인수하려는 후보는 없었다. 

      M&A업계 관계자는 "몇몇 건설사가 신동아건설 인수를 검토해달라고 해 조사보고서를 살펴봤는데 청산 가치가 꽤 높았다"며 "1000억원은 넘었던 것으로 기억해 매각하기에는 가격 눈높이 차가 관건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계속기업가치가 1000억원을 상회한다고 평가된 이유는 공사 현장에서의 매출 등이 긍정적으로 평가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회사는 M&A가 아닌 자체 갱생 회생 계획안을 통해 회생 절차를 진행 중이다. 

      절차가 이례적으로 빠르게 진행되는 이유는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협력업체로 번질 수 있는 연쇄 부도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서울회생법원의 한 판사는 "회생 절차가 장기화하면 추가 수주가 막혀 회사가 더 어려워지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라며 "건설사들의 법정관리 진입이 늘어난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신호이자 사회적 비용이 크기 때문에, 빨리 살려내고자 하는 의지도 담겨있다"이라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와 금융당국은 부실 위험이 큰 건설사에 대한 선제적 구조조정과 함께, 건설업계 전반의 위기 상황을 고려해 제도적 보완에 나섰다. 올해도 부동산 PF 정상화를 위해 PF 정상화 펀드, 사업자보증 추가 확대 등 다방면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업계에서는 신동아건설 사례가 향후 건설사 회생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를 조기에 졸업한다면 다른 중견사들에도 회생의 '선례'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