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속 제품 찾는 SK바이오팜 해외서 기술 도입 추진
삼성에피스홀딩스 신설 이후 바이오 투자 드리이브
국내 기업 아닌 미국 등 해외 기업이 인수 대상으로
"데이터 신뢰도 낮고, 인수 과정서 '잡음'도 걸림돌"
-
삼성그룹과 SK그룹 등 바이오 계열사를 둔 대기업들이 미국을 비롯한 해외 바이오·헬스케어 시장을 살펴보고 있다.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기 위해 현지 기업과 접촉하기 위해서다. 이들 기업은 해외 기업의 기술을 가져오는 기술도입(License In)이나 기업을 통째로 사들이는 인수합병(M&A)을 주로 검토한다.
이를 두고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 사이에서는 대기업들이 M&A 대상에서 사실상 한국 기업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국내 기업의 기술 수준이 떨어져 인수할 만한 기업이 없다기에는, 올해 상반기만 해도 알테오젠과 에이비엘바이오, 알지노믹스가 글로벌 빅파마와 조 단위(총 계약규모 기준)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하지만 대기업 바이오 계열사의 눈은 해외에 꽂힌 모습이다. 먼저 SK바이오팜이 뇌전증 치료제 엑스코프리의 후속 제품을 해외 기업으로부터 도입하는 과정을 추진하고 있다. 도입 작업은 올해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후속 제품은 SK바이오팜이 엑스코프리를 판매하며 구축한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중추신경계(CNS) 치료제로 파악된다.
이재용 회장이 사법 리스크를 털어낸 만큼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한 삼성그룹 내 바이오 기업들도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아내기 위한 M&A를 추진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은 항체약물중합체(ADC),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개발 역량을 키우려면 기술을 가진 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분할로 탄생할 삼성에피스홀딩스도 당장 지주사이자, 투자사로 기능할 예정이다. 삼성벤처투자가 그동안 삼성물산,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출자로 조성한 삼성라이프사이언스펀드를 운용했던 만큼 이 펀드에 담은 기업들과 유사한 분야의 투자를 이어가지 않겠냐는 평가도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대기업 바이오 계열사가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 매물을 찾는 이유는 글로벌 시장의 트렌드 변화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통상 글로벌 시장의 트렌드는 좋은 치료 효과를 낸 약물이 주도하는데, 이런 시장 움직임에 발 빠르게 대처하는, 혹은 앞서가는 기술을 찾다 보면 자연히 해외 기업이 눈에 띈다는 뜻이다.
애초 이들 기업의 무대는 해외이기도 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통해 유럽(53.9%), 미국(36.8%)에서 대부분의 매출을 올린다. 국내서 올리는 매출은 3% 수준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역시 유럽을 중심으로 바이오시밀러를 공급한다. SK바이오팜은 "미국만 본다"는 평가를 받을 만큼 엑스코프리를 미국 시장에 진입시키는 데 집중해 왔다.
대기업 계열사 출신인 제약·바이오업계 한 관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 SK바이오팜 등 국내 대기업에 속한 바이오 기업들은 국내보다 해외 시장에서 주로 활동하는 기업"이라며 "해외 시장의 치료제 트렌드에 발 빠르게 대응했거나, 시장을 선도할 물질을 찾아낸 기업을 발굴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해외로 눈을 돌린 모습"이라고 했다.
일각에서는 대기업들이 해외 기업을 인수하면 국내 기업 인수 시보다 여러 창구에서 나올 잡음이 적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는다. 제약·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삼성그룹은) 국내 기업 인수 시 여러 말이 나올 공산이 커 투자하지 않는 기조로 안다"며 "충분히 매력적인 기업이 아닌 이상, 과정이 시끄러울 것으로 예상된다면 대상으로 검토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국내 바이오 기업이 몇몇을 제외하곤 인수자에 충분히 매력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제시된다. 글로벌 빅파마의 경우 국내 기업의 기술을 도입할 때 상당한 자금이 소요되는 임상 결과 등을 추가로 요구하기도 한다. 기업이나 기술을 사가는 인수자가 만족할 만한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런 역량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사안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기술 도입을 원하는 기업이 세밀한 데이터를 요구하면, 이를 제시하기 위해 추가적인 시험을 수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상을 원숭이로 하는지, 마우스로 하는지에 따라 비용도 다르고, 이를 국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의 수도 다르다"며 "결국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여야 인수 대상에 오르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