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급 건설사, 신용도 하방 압력 심화…안전 관리가 신용도 성패 가른다
입력 2025.09.18 17:48
    18일 한국기업평가 크레딧 세미나
    포스코이앤씨, 평판 리스크 확대 주목
    "재무 융통성, 중요성 확대될 것"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안전 관리, 금융권 대출 규제 심화 등으로 국내 건설사들의 재무구조와 유동성에 대한 요구 수준이 과거 대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건설사 신용도는 하방 압력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특히 A급 기업들 위주로 등급 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18일 한국기업평가는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불확실성의 뉴노멀 앞에서 길을 묻다' 크레딧 세미나를 개최했다.

      김현 한기평 수석연구원은 "우수한 유동성 대응력을 갖춘 최상위 등급군을 제외하고는 건설업 전반의 신용등급은 점진적 하향 안정화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A급에서 등급 변동이 가장 많았고, 앞으로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A급 건설사들은 우량한 신용도와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미분양이나 PF 사고 등 리스크에 광범위하게 노출이 돼 있다"며 "실제로 'A+'에서 'A0'로 조정된 사례가 많다"고 덧붙였다.

      올해 안전 관리 이슈가 건설업 신용도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지난 7월 국무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포스코이앤씨 사망 사고와 관련해 '경영책임'으로 간주하면서다. 

      포스코이앤씨의 신용등급에 대해서는 단기간 내 평판 리스크가 확대만을 이유로 신용등급을 하향 조정하기 어렵다고 짚었다. 앞서 HDC현대산업개발과 GS건설은 안전 사고 이후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된 바 있다. 각각 유동성 차환리스크, 대규모 재시공 비용이 발생해 재무 부담이 빠르게 확대됐다는 이유다.

      김 연구원은 "포스코이앤씨에서 발생한 신안산선 터널 붕괴를 다른 사례들과 비교했을 때 유동성 리스크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다"며 "다만 국무회의에서의 대통령 발언과 이후 연이은 사고로 단시간 내 평판 리스크가 확대된 케이스"라고 했다.

      이어 "사고의 원인이나 처분의 윤곽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평판 리스크 확대만으로 등급 액션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 정부의 규제 강화 속 안전관리 역량이 신용도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 건설사들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전후로 안전관리 전담 부서 신설, 관련 예산 확대, IT기반 장비 도입 등 관리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유동성 대응능력의 중요성도 확대되고 있다. 원가 부담과 미분양 증가로 현금 창출력이 약화하는 가운데, 사고 비용과 PF 우발 처분 현실화로 필요 유동성은 점점 더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연구원은 "현금성 자산 같은 즉각적 가용 유동성만을 기준으로 커버리지 지표를 측정한다면 건설업 전반의 유동성 대응 능력은 낮을 수밖에 없다"며 "향후 건설업에서는 단순한 현금 기반 유동성보다 재무 융통성의 중요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어려운 자금 조달 환경에서는 계열 지원 가능성도 신용도 하향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계열 차원의 재무 융통성이 발휘된 사례로는 롯데건설과 신세계건설의 재무 구조 개선 과정에서 나타난 계열사 신용 보강 자금 대여, 사업 부문 양도 및 매각 등을 꼽았다.

      향후 중장기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비주택 사업의 안정적 수익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SK에코플랜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은 여전히 건설 부문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김 연구원은 "비주택 중심 포트폴리오 전환은 불가피한 흐름일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다만 수익성이나 리스크 관리 등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신용도 개선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