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점 근접한 삼성바이오로직스…거래재개 후 재료는 미국과 6공장
입력 2025.10.23 15:41
    올해 5월 인적분할 발표 이후 주가 하락
    거래 정지 한 달 앞두고 118만원대 솟아
    인적분할 마무리 후 사업계획 발표 전망
    미국 투자, 6공장 착공 등 시장 기대 커
    • (그래픽=윤수민 기자) 이미지 크게보기
      (그래픽=윤수민 기자)

      거래 정지를 앞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가 최근 들어 상승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오는 11월 변경 상장을 추진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인적분할 이후 주가 상승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의 매수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가 거래 재개 이후에도 상승하려면 공장 증설과 착공, 미국 공장 확보 등 추가적인 재료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가는 이달 들어 지속적인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일 기준 100만원대였던 주가는 지난 22일 장중 118만원을 돌파하며 올해 2월 고점인 120만원대에 근접했다. 회사 주가는 지난 5월 인적분할을 발표한 이후 100만~110만원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인적분할 추진 과정에서 이달 30일 거래 정지를 앞두고 투자자들의 매수 수요가 몰리는 모습이다.

      실적 시즌을 맞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어닝서프라이즈가 기대되는 점도 매수세를 뒷받침하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이 회사가 올해 3분기 매출 1조7185억원, 영억이익 618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시장전망치(가이던스)와 비교하면 매출은 11%, 영업이익은 22% 높은 수준이다. 키움증권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올해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1조6247억원, 6462억원으로 전망했다. 모두 시장 전망치를 각각 5%, 28% 웃돈다.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고 공장 가동률이 높아지는 등 회사가 올해 수익성을 더 개선할 환경이 조성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하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공장부터 4공장까지 모두 완전 가동 중이며 연말에도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했다.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올해 3분기 평균 환율은 1404원으로, 이전보다 상승해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우호적인 환율 영향이 예상된다"고 했다.

      거래 재개 이후 주가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향후 사업 및 투자 전략에 따라 갈릴 전망이다. 의약품 제조산업 특성상 그동안 증설, 수주 소식이 주가 상승 재료였기 때문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앞서 오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6공장을 증설하겠다고 밝혔다. 관세 리스크 해소와 관련해 미국 투자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장에서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향후 6공장 착공과 미국 투자 소식을 발표할 것이란 기대가 큰 상황이다.

      위해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미국 진출 여부, 6공장 착공 등의 의사결정은 회사의 경영 구조가 안정되는 인적분할 이후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글로벌 빅파마들은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을 위탁개발생산(CDMO)업체로 선택하는 생산이원화(듀얼소싱)를 선호하는 추세"라며 "글로벌 생산역량(캐파)을 확장하거나 미국 내 생산시설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아직 공장 증설, 미국 투자와 관련해 별다른 계획을 발표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기존 공장들의 가동률과 수주 확대 상황을 고려해 6~8공장 등을 추가로 건설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투자의 경우에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이후에도 현지 공장을 활용할 수 있을지 그룹사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미국 공장 투자 시 국내보다 큰 비용이 필요하고, 공장을 가동하지 못하면 애물단지가 되기 때문에 필요성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수급 역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향후 성과에 달렸다는 분석이다. 이 회사가 수주 환경 개선을 위해 인적분할을 결정한 만큼 기업 가치 변동에 따라 주가가 오르내릴 전망이다. 예를 들어 지난해 인적분할을 추진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거래 재개 이후 28만원대였던 주가가 두 달 새 40만원대로 솟았다. 방산 수요 증가와 수출 확대로 현재 주가는 100만원대를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