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우선주 부담 커진 MBK파트너스, 홈플러스 점포 정리 속도낼 듯
입력 2021.05.31 07:00|수정 2021.06.02 09:58
    금리 스텝업 따라 국민연금 RCPS 부담 커질 듯
    RCPS 상환하려면 앞선 순위 차입금 먼저 갚아야
    작년부터 점포 매각 속도…올해 차입금 대부분 갚을 듯
    매장 매각 반발은 부담…정책 따라 회수 성과도 영향
    •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인수 당시 국민연금 투자를 유치했는데 이 자금은 시간이 지날수록 보장 이율이 높아진다. 고금리를 오래 유지할수록 부담이 커지니 국민연금 투자금을 앞당겨 상환하는 것이 유리하다. 순위가 앞서는 차입금을 먼저 갚아야 하지만 재무구조가 악화한 터라 자본시장을 활용하긴 쉽지 않다. 지금까지처럼 점포 정리를 통한 자금조달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MBK파트너스는 2015년 10월 홈플러스를 인수하며 5년 만기로 4조원대 차입을 일으켰다. 블라인드펀드 외에 국내외 기관투자가 자금을 받은 공동투자펀드를 활용했다. 국민연금도 6000억원 규모 상환전환우선주(RCPS)에 투자했는데, 9%의 수익률을 보장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RCPS엔 시간이 지날수록 금리가 오르는 스텝업 조건도 있어 처음 9%의 수익률에서 최근엔 12% 수준으로 높아진 것으로 전해진다. 최근 RCPS 원리금은 8000억~9000억원가량으로 알려졌는데 시간이 갈수록 부담이 가파르게 늘어날 수밖에 없다.

      상환 시기를 앞당겨야 회수 부담이 줄지만 카드는 많지 않다. 2019년 새 리스회계기준이 도입된 후 과거 매각후재임대(S&LB) 계약 상의 부채도 한꺼번에 계상하며 홈플러스 재무지표가 크게 악화했다. 자본으로 분류되던 RCPS도 부채로 반영됐다. 홈플러스의 작년 2월 기준 부채비율이 859%에 달한다.

      현재로선 시장에서 별도 자금을 일으켜 RCPS를 상환하거나 차환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MBK파트너스는 지금까지처럼 홈플러스 매장을 활용한 자금 확보에 열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RCPS를 상환하려면 차입금 먼저 해결해야 한다. MBK파트너스와 대주단은 차입금이 상환돼야 RCPS도 상환할 수 있도록 하는 합의를 맺었다. RCPS의 만기는 작년 10월 21일이었는데, 차입금이 상환되지 않으면 만기가 자동 연장된다는 약정에 따라 만기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MBK파트너스는 2019년 초 홈플러스 리츠가 무산되자 차입금(2조1500억원)을 차환하고, 본격적으로 점포를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전까진 S&LB 방식 유동화를 선호했으나, 작년부터는 ‘점포 매각’으로 굳어졌다. 일부는 땅값으로 받고, 일부는 해당 부지 개발사업에 출자해 차익을 노리는 방식이다. 부채비율이 높아지지 않으려면 ‘진성매각’을 해야 했다.

      홈플러스는 회계법인 등을 매각 주관사로 고용해 작년 안산점, 탄방점, 둔산점, 대구점 등을 매각했다. 부동산 호황에 유동성도 풍부하니 매장마다 수천억원의 가격을 인정받았다. MBK파트너스는 이 자금을 활용해 작년에만 차입금을 1조원가량 줄였다. 가야점 매각까지 완료되면 차입금 규모는 9000억원 수준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MBK파트너스는 상권이 겹치거나, 온라인 전환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은 곳을 정리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 아직 홈플러스가 직접 점포를 소유하고 있는 곳이 70여 곳에 달해 가용 자원은 충분하다는 평가다. 이르면 연내에도 RCPS 상환에 나설 환경이 갖춰질 가능성이 있다.

      한 금융사 관계자는 “새 리스회계 도입 후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매장 진성 매각에 나서 차입금을 가파르게 줄여가고 있다”며 “올해에는 국민연금 RCPS만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매장 매각을 둘러싼 잡음은 이어지는 것은 부담스럽다. 홈플러스 노조는 MBK파트너스가 매장을 무차별적으로 매각해 직원들이 고용 불안에 내몰리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부동산 정책에 따라 매각 성과가 달라질 수도 있다. 안산점의 경우 예비입찰 시 5000억원을 제시하는 곳도 있었지만 실제 거래 금액은 1000억원 이상 작았다. 매각 과정 중 부동산 규제를 강화하는 6.17대책이 발표되고, 안산 시의회에서 용적률을 제한하는 내용의 조례를 내놓은 데 따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