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금융권의 숨겨져 있던 '연봉왕'들이 공개되며 화제가 됐다. 김성락 전 한국증권 본부장(전무ㆍ22억원)ㆍ김연추 차장(22억원) 등이다. 이어 김성락 전 본부장의 미래에셋대우로 이직 사실이 알려졌고, 증권가에서는 관련팀이 이동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왔다. "얼마를 더 받길래 22억원을 받는 이들이 회사를 옮기느냐"라는 세간의 평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김성락 전 본부장은 오히려 한국증권에서 지난 몇년간 보너스를 깎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너인 김남구 부회장이나 유상호 대표보다 성과급을 더 받으며 사내에서 인정을 받은 것도 사실이지만, 동시에 회사 실적이 2배 이상 늘어날 때 본인 상여금은 줄었다는 의미다.
화제가 됐던 김성락 전 본부장의 보너스의 경우. 지난해 지급된 상여금은 총 21억4700만원으로, 이는 '2014년분 6억원+2015년분 5억4900만원+2016년분 1억9800만원+2017년분 8억원'으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이 금액과 한국증권이 밝힌 보너스 지급기준으로 역산하면 매년 그에게 책정된 보너스는 ▲2014년 25억원 ▲2015년 30억5000만원 ▲2016년 11억원 ▲2017년 20억원이다. 2년동안 보너스가 매년 줄었다는 의미다.
이 같은 김 전 본부장 등의 보너스 내역은 사실 법이 바뀌면서 이번에 최초로 공개됐다.
원래 지난 2013년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주요 기업의 5억원 이상 고액연봉자(보너스 포함) 가 공개됐다. 다만 이때는 이사회에 참여하는 '등기이사'가 5억원 이상을 받을 때만 내역이 공개됐는데 이후 기업 오너들이 보수를 공개하지 않으려 등기이사를 떼는 일도 생겨났다.
이에 올 상반기부터 일반 임원ㆍ직원도 연봉+보너스가 5억원이 넘으면 '사내 보수 톱5' 형태로 공개하도록 했다. 처음 공개되는 시점이 올해 반기보고서부터였다. 한국증권 고액 성과급을 받는 이들도 이 과정에서 처음 공개됐다. 지급 내역은 반기보고서 등에 회사가 의무적으로 내용을 적시해야 한다.
이들에게 적용된 급여ㆍ상여 지급기준 및 내역에 따르면 이들은 과거에도 매년 20~30억원대 보너스를 받아왔던 것으로 나타난다.
금융당국은 지난 2010년 증권사 임직원의 잦은 이직을 막기 위해 '성과급 이연제'를 도입했다. 성과를 낸 해 보너스를 그 해에는 총액의 40~60%만 지급한다. 나머지 보너스는 이후 3년간 나눠서 주도록 하는 제도다. 그리고 해당 임직원이 퇴사하면 3년간 나눠받게 될 보너스는 못받게 된다.
한국투자증권의 경우. 성과를 낸 해에는 책정된 보너스의 40%만 지급했다. 나머지 60%를 다시 쪼개서 향후 3년에 걸쳐서 매년 30%, 30%, 40%를 지급하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쉽게 말해 그해 보너스가 10억원이 책정됐으면 일단 연말에 4억원을 준다. 그리고 나머지 6억원을 1.8억원-1.8억원-2.4억원으로 3년간 나눠서 받는 식이다. 그 사이 회사를 떠나면 남은 보너스는 받지 못한다.
한국증권은 이 적용기준을 성과급 이연제를 도입한 이후 변하지 않고 적용했다. 해당 기준 역시 톱5 보수를 공개한 한국증권 반기보고서에 세부적으로 실려있다.
-
즉 이번에 보너스 내역이 공개돼 화제가 됐지만 김 전 본부장은 원래부터 고액 성과급을 받던 인물이라는 얘기다. 회사 수익 창출에 기여도가 높다는 점이 이유로 풀이된다. 증권가에서는 김 전 본부장은 회사 전체 수익의 4분의 1 가까이를 창출해왔다는 평가가 많았다.
다만 회사 실적이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오히려 김 전 본부장의 보너스는 급감했다.
일례로 2015년 30억원의 보너스가 지급됐으나 2017년 보너스는 20억원으로 감소했다. 이 기간 그가 지휘하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운용을 통한 수익을 거두는 트레이딩 부문 수익은 2015년 2707억원에서 2017년 5736억원으로 급증했다. 올 3분기에만 4704억원을 벌었다.
달리 말해 회사 실적이 2배~3배 늘어나는 동안 보너스가 과거보다 깎였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김연추 차장의 성과급 보너스는 회사 실적에 따라 성과급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2015년 책정액이 20억원이었지만 2017년 30억원으로 증가했다.
미래에셋대우는 김 전 본부장 영입 협상 과정에서 퇴사로 인해 포기해야 하는 이연 성과급을 보장해주는 조건을 내건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본부장이 퇴사로 받지 못하는 성과급은 총 24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여기에 올해 성과급을 지난해 수준으로 보장하고, 최소 2년~3년의 임원 계약을 맺는다면 증권가에서 거론되는 '100억원 영입설'은 그리 허황된 얘기만은 아닌 셈이다.
올해 김 전 본부장보다 많은 성과급을 배정받은 김 팀장은 한국투자증권에서 이탈할 때 포기해야 하는 이연 성과급이 26억원으로 김 전 본부장보다 더 많다. 김 팀장은 증권가에 파다한 '동반 이직설'에도 불구, 아직 회사에 퇴사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한국투자증권은 이들의 성과급 내역과 삭감여부ㆍ증감이유에 대해 "개별 수치를 확인해주거나 세부내역을 공개하기 어렵다"라고 밝혔다.
원래 고액보너스 받던 이…성과급 2015년 30억→2017년 22억
이 기간 회사 트레이딩 이익 2707억원→5736억로 급증
회사 이익은 2배 이상 늘었지만 오히려 상여금 감소 상황
이 기간 회사 트레이딩 이익 2707억원→5736억로 급증
회사 이익은 2배 이상 늘었지만 오히려 상여금 감소 상황
인베스트조선 유료서비스 2018년 11월 23일 07:00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