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News

내용 같이보기 | 제목만보기
  • 밀렸던 금융공기업 인사 눈앞…기대 없고 불안감만
    밀렸던 금융공기업 인사 눈앞…기대 없고 불안감만
    정부 조직개편안이 발표되면서 멈췄던 금융권 인사 시계가 다시 돌아갈 전망이다. 한동안 수장 없이 업무를 진행했던 기관들은 신속한 인사를 기다리고 있다.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조직..
    2025.09.10|이하은 기자
  • '또 서울대 82학번?' 7대 금투협회장 선거에 벌써 퍼진 '피로감'
    '또 서울대 82학번?' 7대 금투협회장 선거에 벌써 퍼진 '피로감'
    연말 7대 금융투자협회장 선거를 앞두고 또 다시 '서울대 82학번'이 전면에 등장했다. 증권가를 비롯, 금융권 안팎에선 '언제까지 82학번이 다 할 것이냐'는 피로감이 고개를 드는 가운데,..
    2025.09.10|최수빈 기자
  • 콘텐트리중앙, 만기 도래 채권 '자체' 상환…지속된 출혈에 메가박스 투자유치 '절실'
    콘텐트리중앙, 만기 도래 채권 '자체' 상환…지속된 출혈에 메가박스 투자유치 '절실'
    콘텐트리중앙이 만기 도래한 채권을 차환하지 못하고 자체 자금으로 상환했다. 중간 지주사로서 계열사 지원 부담이 이어지면서 재무여력은 약화됐다. 이에 따라 자금 조달 여건도 녹록지..
    2025.09.10|임지수 기자
  • 게임룰 바꿀 입법리스크…기업도 PEF도 노무·대관 '위기관리' 모드로
    게임룰 바꿀 입법리스크…기업도 PEF도 노무·대관 '위기관리' 모드로
    입법 리스크가 기업 경영을 흔드는 무게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상법 개정으로 최대주주의 경영권 방어 장치가 약화된 데다, 자사주 소각 의무화 논의가 본격화됐다. 노조법 개정(일명..
    2025.09.10|한설희 기자, 윤혜진 기자
  • '누가 금소원 갈까' 전·현직 금소처 출신부터 '소비자학' 전공까지 금감원 혼란 고조
    '누가 금소원 갈까' 전·현직 금소처 출신부터 '소비자학' 전공까지 금감원 혼란 고조
    금융감독원에서 금융소비자보호원(금소원)이 분리·신설되는 안이 확정되자 직원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이세훈 금감원 수석부원장이 '인적 교류' 카드를 꺼내긴 했지만 직원들의..
    2025.09.10|강지수 기자
  • "프로그레시브 딜에도 '상도의'가 있어야 하는거 아닙니까?"
    "프로그레시브 딜에도 '상도의'가 있어야 하는거 아닙니까?"
    M&A를 다룬 외신에서 '프로그레시브 딜' (Progressive Deal)이란 말은 찾아보기 힘들다. 콩글리시다. '경쟁입찰' (Competitive Bidding) 정도로만 표현된다. 본입찰 이후 가격경쟁을 계속 붙이면?..
    2025.09.10|현상경 취재본부장
  • 얼라인파트너스, JB금융지주 회수 만지작…통매각 여부는 불투명
    얼라인파트너스, JB금융지주 회수 만지작…통매각 여부는 불투명
    얼라인파트너스가 JB금융지주 투자 지분을 매각하기 위해 원매자를 물색하고 있다. 회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지분 전량을 한 번에 파는 것이 유리하지만 금융관련 규제, 향후..
    2025.09.10|위상호 기자, 이상은 기자
  • 금융감독 체제 개편에 드러난 이재명 정부 ‘금융시장’ 인식…“산업보단 규제의 대상”
    금융감독 체제 개편에 드러난 이재명 정부 ‘금융시장’ 인식…“산업보단 규제의 대상”
    정부·여당이 금융감독 체계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핵심은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금융감독위원회(금감위) 부활, 금융감독원(금감원)과의 역할 재정렬,..
    2025.09.10|양선우 팀장, 강지수 기자
  • 산업은행 회장에 박상진 전 산은 준법감시인…첫 내부 출신
    산업은행 회장에 박상진 전 산은 준법감시인…첫 내부 출신
    산업은행 신임 회장에 박상진 전 산업은행 준법감시인이 임명됐다. 산은에서 내부 출신 회장이 선임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금융위원회는 9일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박상진 전 준법감시인을..
    2025.09.09|이하은 기자
  • 노란봉투법 여파로 국회 집중점검 받는 네이버·카카오…국민연금·공정위도 참석
    노란봉투법 여파로 국회 집중점검 받는 네이버·카카오…국민연금·공정위도 참석
    네이버와 카카오의 지배구조가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상법 개정과 노란봉투법 등으로 노조 발언권이 확대된 가운데, 양사 노조가 창업자 중심 의사결정과 지배구조 문제를 직접..
    2025.09.09|한설희 기자
이전 이전12345678910다음 다음

주요뉴스

'영업관행 검사가 메인인데'…금감원, 금소원 신설 시 보험사 통제력 약화 불가피
'우리도 같은 지수 만들어줘'...운용사 ETF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지수 사업자'
법무법인 태평양, 파트너 정년 65세 연장 추진…어쏘 변호사 기본급은 인상
SK이노베이션, 차주 이사회서 3조 CPS 발행 결의
'자회사 합병'도 노조에 발목…HD현대, 노란봉투법에 '골머리'